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 아름다움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조주관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rte 도서는 또 오랜만이다. 아니 올해는 처음이지만 아주 오래전 나나흰으로 활동했어서 개인적으로 꽤 반가운 출판사이다.

커버의 d는 'Dostoevsky의 d' 이니셜일까. 대문자 D 속에 채워진 그림들로 된 디자인을 펼쳐본다.

나는 도스토옙스키를 채운 그림들이 궁금했다.

도의 유명세에도 내가 읽어 본 소설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정도여서 더 호기심이 일었다.

새로움은 늘 흥미가 동반된다고 생각해왔다.

새로움이라는 것은 어쩌면 아주 오래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알지 못했던 아주 오래된 것에서 찾아내는 보석 같은 흥미.

그래서인지 도서를 고를 때 필요에 의해서보다는 호기심의 역할이 더 큰 것 같다.

차례를 보면

1부는 '성과 속', 2부 '미와 추', 3부 '생과 사'로 크게 나뉜다. 각각의 부마다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에 사용된 문법, 그가 좋아했던 그림에서 얻은 영감. 이 영감의 근원이 되어 나타난 작품의 조각들, 가치관과 종교 등 다양한 감각들이 작품에 어떠한 형태로 녹아있는지 짚어볼 수 있다.

작가에 의하면 도스토옙스키가 말하는 '어린아이처럼'이라는 표현은 최고의 찬사이며 궁극엔 '어린아이처럼 살라'라고 했을 만큼

어린이에 대한 사랑으로 유별나다. 어린이들을 순수 자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빛이 조명하는 어린아이들이 담긴 성경의 화폭을 보면 신화적 느낌마저 띈 순수한 긍정이 절로 느껴진다.

도스토옙스키의 유명세에도 내가 읽은 소설이 고작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정도임에

아주 오래전 읽은 책의 장면을 다시 가져와 보여주는 책의 구조는 그때의 장면들이 다시 대입되면서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다시 읽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익히 알고 있듯 그의 작품은 많은데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백치, 죄와 벌, 도박꾼, 미성년, 폴준코프, 작가 일기, 회고록, 악령, 지하로부터의 수기, 죽음의 집의 기록, 악령 등 책 속에만도 꽤 많은 작품이 소개된다. 그리고 글 속에 속속 숨은 미술에서의 영감과 표현, 예술 작품에서 느꼈을 순간의 매력. 그의 생각을 비추는 문장들도 함께.

또한 책의 내용 사이사이 담긴 초고의 스케치들은 왠지 모르게 내 마음까지 설레게 했다.

무엇보다 빛에 관한 작품을 묘사한 장면은 유독 새로웠는데 그중 쿠인지의 <자작나무의 숲>이라는 작품 앞에서는 시선이 멈추어 서 한참을 응시하게 되었다.

그림도 영화도 글도 모두가 시대를 반영함을 우리는 알고 있다. 자작나무에 담긴 러시아인들만이 알 수 있는 짙은 문화적 향수에 대한 설명이 그랬다. 우리도 우리나라 사람들만이 공감하는 표현과 장소 그리고 환경적인 요소들이 있듯이.

또한 2부에 등장하는 코레조의 <거룩한 밤>역시 인상적이었다. 극명한 빛의 대비로 이 좁은 책의 조각 안에서도 빛나 황홀하기까지 하다.

이 밖에도 '돌아온 탕자', '목 잘린 인간' 그림 등 어리석음과 죽음의 미학까지도 흥미롭게 소개된다.

이처럼 이 책의 강점은 소개되는 그림 작품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속 어떤 지점에서 어떤 형태로 녹아 있는지, 해당 소설이나 책의 일부를 가져와 보여주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이해하기 좋다.

아마도 각각의 이 유려한 그림을 따로 접했더라면 그림 자체는 훌륭하니 그것의 감흥은 느낄 수 있었겠지만

작가 도스토옙스키가 느꼈을 시선, 영감을 어떻게 재 가공하여 새로운 장르와 묘사로 사람들에게 다시 전했을지는 몰랐을 것이다.

영화 속에 숨은 이스터에그를 찾듯, 그의 책 속에 숨어 있는 그림과의 연결점을 찾아가는 일이 책의 일석이조의 재미였다. 가볍게 그러나 깊이 있게 읽고 볼 수 있어 좋았다.

이 많은 그림이 소개되고 그에 따른 책까지 소개하는 것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아이러니하게도 굳이 찾은 단점 역시도 아마 이점이 아닌가 한다.

왜 그러냐 하면 그것은 이 책은 어딘가로 흘러가기 위한 안내서의 느낌이다. 하나 나쁘지 않다. 자연스럽게 가면 될 일이다.

기존에 도스토옙스키가 쓴 책들로, 그가 감명받고 영감 얻었을 그림들에게로, 그 시대의 어느 글 무덤으로 말이다.

나는 이 안내를 발판 삼아 언젠가 그를 하나씩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 느끼며 서평을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