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e happy -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소냐 류보머스키 지음, 오혜경 옮김 / 지식노마드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처음 이 책을 봤을 때요, 책 이름이 뭐랄까... 가슴에 여운을 남기는 듯한 그런 기분이 느껴졌어요.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수많은 생각을 가지게 만드는 말 아닙니까... 그러면서 과연, 과연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행복해지기 위한 연습이란 무엇일까, 뭘까... 끊임없는 책에 대한 궁금증들이 밀려들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행복이란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알아야만 느낄 수 있는 것'이예요. 그러니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할 줄 알아야만이 행복도 가능하다 생각한다는 것이죠. 정작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모르는데, 사랑하지 않는데, 제아무리 좋은 일이 있다거나 해봤자 그 기쁨 온전히 누릴 수 없는 거거든요. 행복하다는 생각이 안 들거든요. 제가... 흠... 사실 제가 그렇습니다. 아무리 운이 좋은 일이 생겨도, 기쁜 일이 생겨도, 제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나 행복하지가 않아요. 삶을 즐기면서 산다? 인생을 즐기면서 산다? 그런 게 없습니다. 그냥... 그냥 사는 게 무의미하고... 허무하고... 아무튼 그런 저에게 있어서 행복이란 것은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준비가 되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을 사랑할 때, 그때야 비로소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앞서의 제 행복 관념이 어떻게 보면 <How to be happy>란 책이 말하고 있는 행복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유전적인 그리고 환경적인 조건들도 중요하지만, 그러면서 또 하나 중요한 조건이 바로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한 나 자신의 의지라 말하고 있으니까요. 아무튼 요는 '알고 있으면서 실천하지 못해서 행복하지 못하다' 이것인데요, 사실 제가 예전부터 깨닫고 있었던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것이 저에게는 하나의 반복 학습이었죠. 진작부터 깨닫고 생각했던 것들을 다시금 되새기는 과정 말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다시 한 번 행복에 대해 생각해보고 또 행복하기 위해서 해야 할 노력들을 짚어보는 소중한 시간이었던 반면, 행복해질 수 있는 색다른 방법이나 노하우 같은 것을 배우지 못해 충족되지 못한 기대감에 다소 아쉽기도 한 시간이었습니다. 책은 참 괜찮은데요, 행복에 대한 묘책 같은 게 필요했던 저에게 있어서는 약간 모자란 감이 없잖아 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