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 원인을 파헤친다!
박은봉 지음 / 책과함께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란 책, 독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세상에 나온 의미가 깊은 책이라는 점에서부터 관심이 많이 갔었습니다. 그만큼 우리 역사를 제대로 잡기 위해 다듬고 다듬었다 하는 노력이, 정성이라는 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읽고 싶다는 욕심이 많이 들었구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 그리고 그것을 샅샅이 파헤친 책. 내용이 어찌나 궁금하던지...

사실 말입니다, 이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란 책은 제가 다소 어려워하는 분야의 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역사 도서는 그 분야를 대단히 즐기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아마도 저같이 약간 어렵다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은데... 내용 자체가 버겁기도 하고, 지루한 분위기 때문에 숨이 막히기도 하고, 그렇잖습니까. 그런데요, 이 책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책을 편 순간부터 손에서 떨어지지 않았어요. 아니, 손에서 떨어뜨리고 싶지 않았다고 하고 싶네요. 여느 역사 도서와는 정말로 다른 책이었거든요.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는 고리타분하게 주저리주저리 우리 역사를 저 위에서부터 쭉쭉 나열하며 설명하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말 그대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한국사 상식 44가지의 오류를 총 5개의 파트로 나눠 하나씩 하나씩 짚어주고 설명하는 책이었어요. 그렇지, 이 5개의 파트부터 상당히 흥미를 유발시켰습니다. 어원에 관한 잘못된 상식, 인물에 관한 잘못된 상식, 유물 · 유적에 관한 잘못된 상식, 책 · 문헌 · 사진에 관한 잘못된 상식, 정치 · 사회 · 생활에 관한 잘못된 상식! 그냥 이 문구들을 읽는 것만으로도 궁금증이 유발되지 않습니까? 저는 그랬어요. '어원에서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게 있나? 그게 뭐지?', '인물? 누구? 누구를, 무엇을 잘못 알고 있었던 거지?', '유물과 유적이라니, 이건 또 뭘 잘못 알고 있었다는 거야?', '책이라... 문헌도... 거기다 사진까지? 사진은 어떻게 잘못 알고 있을 수가 있다는 거지?', '정치니 사회니 하는 것들이야 그러려니지만, 생활은 어떻게 잘못 알고 있었다는 건가...'. 이런 생각들이 하나둘씩 튀어나오는 게, 어서 빨리 책을 읽고 싶어 안달까지 났었더랬죠.

그냥 목차만 훑어보는데도 관심이 절로 가고 흥미가 절로 이는 책이었습니다. 파트 하나를 들어서서 각 주제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읽으면 읽을수록 다음 것을 탐내 하는 마음이 자제가 되지 않는 책이었어요. 흠... 단순히 정보를 얻고, 지식을 쌓고, 배움을 얻기 위한 욕심이 아니었습니다. 내가 잘못 알고 있던 것에 대한 '바로잡기', 그게 그렇게 욕심이 나더라구요. 그게 그렇게 재밌더라구요.

그래요, 책 진짜 너무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저에게는 참 재밌는 책이었어요. 여태껏 제가 읽었던 몇 안되는 역사 도서 중에서 이만큼 재밌게 즐기면서 읽은 책은 없었다는... 이것 하나만으로도 저에게는 아주 많은 의미가 되는 책이라 할 수 있어요. 그래도, 하지만 무엇보다 이 책이 두고 있는 의의는 정말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한국사 상식 44가지와 그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게 해주는 데에 있다고 해야겠죠.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국사 상식들 중에서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는다는 것에서 역사 도서에서 으레 느끼게 되는 지루함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제목들에서 흥미가 생겨나고, 잘못 알고 있었던 한국사 상식들이 바로잡히기 시작하면서 포만감을 느낀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 지루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던 역사 도서 <한국사 상식 바로잡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