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공주도 학교에 가야 한다 난 책읽기가 좋아
수지 모건스턴 글, 세르주 블로흐 그림, 김진경 옮김 / 비룡소 / 1997년 8월
평점 :
절판


    공주도 학교에 가야 한다.

                                                            동평 초등학교 1학년 3반
                                                                             이하람

 어떤 성에 사는 조르주 114세 왕은 형편이 아주 나빴다. 거기다 아주 가난했다. 사람들은 왕, 왕비, 공주는 동화 속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돈이 없는 것이었다. 돈이 없으니 지붕을 못 고치고 너무 오래 돼서 다 벗겨지고 칠할 수가 없었다. 겨울에는 불을 못 피웠다. 너무 추워서 마치 냉장고 같았다. 하나뿐인 공주에게 하루에 여든 번씩 이렇게 말했다. "네가 공주란 걸 잊지 말아라!" 왕비는 알뤼에스테르 공주에게 이렇게 말했다. "네가 공주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공주는 외롭다는 생각을 또 했다. 한번은 공주가 "네, 저는 공주에요. 그런데 그게 저랑 무슨 상관이에요?"라고 말했다.
 공주는 '친구'라는 말을 몰랐다. 공주는 '스포츠' '놀이' '웃음' 을 못했다. 공주는 혼자서 할 수 있는 놀이를 생각해 내거나 지저분하고 끔찍한 이야기를 생각하고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어느 부부가 공주가 사는 성을 구석구석 둘러보더니 그 성을 사겠다고 했다. 공주는 아주 기뻤다. 새로운 궁전은 7층 짜리 아파트였다. 공주는 맨날 기뻤다. 왜냐하면 아랫집에 부부가 싸우는 소리가 들리고, 위 집에는 사람이 춤추는 소리가 들리고, 베란다에서는  아이들이 노는 소리나 학교 가는 소리가  들려서 그랬다. 어느 날 아랫집에서 아줌마가 올라왔다. 아줌마가 말했다. ''좀 조용히 하세요." 하지만 공주는 빙그레 웃으며 "네" 라고 했다.
 공주는 바깥에서 노는데 뒤에서 어떤 애가 왔다. 그 여자애가 물었다.
"너 왜 학교 안 가?"
"그게 뭔데?"
"저기 있는 건물이야."
"학교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데?"
"그냥 가면 돼."
공주는 치마를 끌고 갔지만 학교 문은 닫혀있었어요. 수요일은 학교가 안 했다.
"바보야, 울지마."
"뭐? 바보. 참 좋은 말이구나."
 그런데 공주는 지각을 해서 못 들어갔다. 다음 날은 선생님이 우리 반 애가 아니라고 못 들어가게 되었다. 그 다음 날은 교장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반으로 갔다. 뛰어 놀 때마다 불편해서 왕비가 운동화 사 주고 뛰어 놀 때마다 조금 잘 뛰고 그리고 선생님께 가위 달라해서 치마를 잘라서 다니니까 잘 뛰고 나중에 바지를 입고 다녔다.
 이 책을  읽으니까 공주가 모르는 게 너무 많은 것 같다. 공주는 처음에 시골 같은 곳에서 살아서 그런 것 같다. 공주가 친구가 하나도 없었는데 친구가 생겨서 너무 기뻤다. 그러나 공주는 모르는 게 많아서 많이 배워야 할 것이다. 공주는 좀 똑똑하니까 잘 배울 것이다. 이사를 와서 공주는 행복해졌다. 그런데  공주는 좀 웃긴다. 아줌마가 와서 뭐라 했는데도 웃었다.  공주는 화내는 방법, 웃는 방법, 우는 방법도 배워야 할 것이다.
 왕하고 왕비, 공주가 가난한 옷을 입고 있어서 멋있지 않다. 그래서 이상했다. 처음에는 돈이 많았는데 나쁜 사람이 돈을 다 가져가서 가난해진 걸까? 가난한 공주가 있는 게 신기하다.
  '내가 진짜 공주'라는 책에서는 여자 친구는 우리 집 공주가 되고 싶다고 집으로 돌아갔다. 나도 공주가 되고 싶다. 우리 집 공주가 제일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