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붕어의 철학 : 알튀세르, 푸코, 버틀러와 함께 어항에서 빠져나오기 - 2025 세종도서
배세진 지음 / 편않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잘 읽고 리뷰를 쓰려다가 안 좋은 말들이 있어서 좀 당황스러웠다.나는 개인적으로 너무 재미있게 잘 읽었다.

푸코와 버틀러의 책을 몇 권 읽었지만, 쉽지 않았다. 특히 푸코의 통치성과 자기 배려에 대한 논의, 버틀러의 보편에 대한 사유 등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싶었다. 그러다가 배세진이라는 학자를 알게 되었고 이 책을 읽게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저항의 끝이 유토피아가 아니라는 그래서 포스트구조주의는 회의주의일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었다. 내가 받았던 교육은 세상에 정답이 있다는 것, 그러니 열심히 모범생으로 살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만약 네가 힘들다면 더 열심히 하지 않아서, 마음을 다스리지 않아서, 자기계발이 모자라서 라고 말하는 세상에서 번아웃은 어쩌면 필연적이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면서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철학의 기본 내용을 이해하게 되었고, 구조 속의 예속적 주체일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럼에도 저항의 방법을 모색해보려고 한다는 것. 그렇다고 해서 약속된 정답의 세상같은 건 없이 계속 흐르고 움직이고 변하고 그럴 뿐이라는 저자의 친절한 설명에서 위로를 받았다. (그러라고 쓴 책은 아니겠지만...)

학문과 학자들의 세계와 관점에서 이 책은 어쩌면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고 틀린 해석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교양대중을 지향하는 평범한 독자에게 이책은 높고 높은 프랑스 철학의 벽에 난 하나의 문과 같다. 이 문을 여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저자의 친절한 설명에도....낯선 사고 방식을 따라가는 건 어려웠음) 문을 열고 나니 그 문을 들어가 철학자들의 원전을 좀더 읽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