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rmarius.net/bbs/skin/amick02_green/image/dot.gif) |
강유원 |
:: |
독일어는 배우는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공부방법이 다릅니다. 모든 외국어가 다 그렇지만요. 목적을 알려 주시면 적절한 방법을 궁리해서 답을 드려도 되겠습니까? 책보면서 눈 안나빠지는건 걱정을 안해 봤습니다. 살 날도 얼마 안남았고, 나빠지면 말지, 하는 생각이거든요. |
| |
caelum |
:: |
선생님 '학생'님이 질문한 것에 덧붙여서 질문드립니다. '학생'님의 답글과 함께 가르쳐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독일어 철학책을 읽으려고 독어 공부를 하는데 실력이 느는 것 같지 않아 답답합니다. 독일어는 교재도 없고 강의하는 곳도 없고 하니 더욱 그렇습니다. 독일문화원을 일년 다녔는데 독해하고는 거리가 멀더라구요. 선생님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삭제](http://www.armarius.net/bbs/skin/amick02_green/image/confirm_d.gif) | |
|
학생 |
:: |
내년에 철학과에 입학해서 공부하는데 좀 도움이 될까 해서 여쭤본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열심히 공부해야겠습니다. |
![삭제](http://www.armarius.net/bbs/skin/amick02_green/image/confirm_d.gif) | |
강유원 |
:: |
학생/ 내년에 철학과에 입학할 것이라면 지금부터 독일어 공부를 하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오히려 여러분야에 걸쳐 책을 많이 읽는 것이 더욱더 중요합니다. 어떤 공부든 다 그러하겠지만 철학은 정해진 과정을 철저히 마스터하면 성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공부'하면 머리 속에 떠오르는 '고시공부'라는 생각을 지우는게 먼저겠습니다. |
| |
길손 |
:: |
독일어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어디서 부터 해야하나요. 문법책을 먼저 봐야되는지. 주된 목적은 독일어 철학책을 원전으로 읽으려합니다. 요즘 유행인 프랑스철학책이나 해설서를 보니 전부 헤겔, 맑스, 프로이트, 니체에서 시작하더군요. 번역된 책은 그 원전의 풍부한 함의를 담지 못하는것 같고 프랑스를 거쳐들어온 것들은 프랑스적 해석같기만 해서요. 한번 원전에 도전해보고 싶어서요. |
![삭제](http://www.armarius.net/bbs/skin/amick02_green/image/confirm_d.gif) | |
강유원 |
:: |
저는 독일어를 고등학교 다닐 때 제2외국어로 배웠던 탓에 초반에 좀 어렵지 않게 들어섰습니다. 독해 공부는 지금은 헌책방에서도 구하기 어려울 '종합독문해석연구'라는 책으로 했습니다. 그런데 그것들이 다 박사과정 입학 시험에만 도움이 될 뿐 독일어 철학책 해독에는 아무 소용이 없더군요. 그래서 위에 적은 방법은 사용했습니다. |
| |
신기철 |
:: |
대학원에서 독일 관념론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주된 목적이 독일어 철학책을 원전으로 읽는데 있다고 해도 우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독일어를 익히면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철학자들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고도로 추상화시켜내어 개념을 만들고, 이 개념을 가지고 자신의 사상을 전개합니다. 따라서 독일어로된 철학책을 읽고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고자 한다면 우선 1) 일상적으로 독일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 방식에 익숙해 져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2) 독일어로된 일반적인 글을 읽고 그 다음에 3) 고도로 추상화된 철학책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없다고 해서 문법책부터 읽는 것을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독일어를 처음 시작할 때 문법책 한 권 다 읽으면 심리적인 만족감을 얻을 순 있겠지만 정작 독해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문법은 일상적인 언어 사용 규칙을 정리한 것이므로 일상적인 언어에 익숙해 진 후에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 짧은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초급 교본은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와 자습서(테이프 포함)입니다. 우선 테이프를 들으면서 교과서와 자습서를 소리내어 읽어보고 문장을 손으로 베껴씁니다. 그러면 어느정도 1)에 해당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끝나면 대학교의 초급 독일어 강좌나 독일문화원 초급 과정(G1A)을 수강하십시요. 1)의 과정을 다지면서 2) 정도 수준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3)에 도전할 것을 권합니다. 함께 읽으면서 "원전의 풍부한 함의"를 가르쳐주실 선생님을 구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만일 불가능하다면 강유원 선생님이 제시한 <판단력비판 독일어로 읽기>를 해보면 되겠지요.
이상은 고등학교시절 부터 지금까지 제가 수행해온 독일어 공부 방법입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궁금하네요. |
| |
길손 |
:: |
예전에 읽은 이영희 선생글중, 외국어를 배울때 그 나라 초등학교 교과서부터 사다가 배워나가셨다는 애기가 있었는데 내일 서점에 가서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를 사야겠군요. 답변 고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