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의 탄생
캐롤 길리건 지음, 박상은 옮김 / 도서출판빗살무늬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캐롤 길리건은 문학적 필력을 바탕으로 심리학을 쉽게 풀어내는 학자이다. <다른 목소리>의 저자로 유명한 길리건은 <다른 목소리>에서 남녀의 도덕관과 도덕발단단계에 성차가 있음을 밝혀냈다. 남성심리학자들이 남성을 대상으로 연구한 도덕발단단계를  여성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하며 여성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는 풍토를 비판하고 남성과 다른 여성만의 독자적인 도덕적 목소리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2002년 저작인 <기쁨의 탄생>에서는 <다른 목소리>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남녀간의 사랑이 성공하고 실패하는 이유를 규명한다. 길리건 스스로 기쁨이 넘치는 사랑에 이를 수 있는 '사랑의 지도'라고 명명한 <기쁨의 탄생>에서 그녀는 줄기차게 여성들이 내면 깊숙히 숨겨둔 참다운 자기 목소리를 회복할 것을 주장한다.

자기목소리를 내기 위해 관계를 무시하거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 목소리를 죽이는 것은 둘 다 목소리와 관계의 상실을 불러온다. 그녀의 분석에 따르면 프로이트가 인용했던 '오이디푸스 신화'는 무리하게 가부장제를 지키기 위해 관계가 단절되어 일어나는 비극이다. 그러나 아풀레이우스의 '변형'에 나오는 '프쉬케와 큐피드 신화'는 프쉬케가 자기 목소리를 잃지 않고 그것에 충실하게 사랑에 따랐던 결과 비너스와 큐피드가 자기 정체성을 재인식하며 변화에 이르게 한다. 프쉬케와 비너스는 마치 고부간의 갈등처럼 서로 질투하고 경쟁하던 관계에서 서로 협력하는 관계로 변신하며 신화는 가부장을 허무는 사랑과 관계의 이야기가 되어 더 나아가선 민주주의와 사랑의 상관관계를 간파하게 한다. 사랑에 성공한 프쉬케와 큐피드 사이에서 낳은 딸이 바로 기쁨(Pleasure)이다. 깊은 내면의 목소리를 숨기는 관계는 죽은 관계이다.

그러나 오래 묻어둔 자기 목소리를 회복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전문가와 상담하며 자기 목소리를 회복하는 일은 그래서 매우 소중하다. 가족을 위해, 집단을 위해 참아 버릇하는 한국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회복하여 행복한 사랑에 이를 수 있는 길을 모색해 보면 어떨까? 상담소를 찾아 목소리 찾기를 시작해 보면 어떨까? 세익스피어, 안네의 일기, 희랍고전 등 문학작품을 통해 여성들의 참된 목소리를 찾아내고 생생한 상담사례를 제시하여 매우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