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독서법 - 마음과 생각을 함께 키우는 독서 교육
김소영 지음 / 다산에듀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시절 방학마다 해야했던 과제 독후감,

요즘 아이들 역시 과제로 독후감(독서감상문이)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서 그런지 아이들이 과제는 

꼭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도 독서감상문을 써서 상도 받아온 적도 있고,

아이가 독서감상문을 쓰는 것을 어려워하지는 않는구나 생각했었는데

문제는 책을 읽으면 독서감상문을 써야 해서 독서의 재미를 잃은 부분이었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스마트폰이나 다양한 플랫폼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아이들에게 독서란?.... 

정말 독서에 재미를 느끼는 아이가 아니라면 자발적으로 책과 가까이하기란 정말 힘든 일일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독서의 재미를 알려주고 싶었다.






그래서 이번에 읽어보게 된 책 #말하기독서법 이다.

독서 교육 전문가인 저자는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독서 교육의 필수 지침과 구체적인 방법을 이 책에 모두 담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아이들과 함께한 독서 교육의 어려움과 문제점들을

세심하게 짚어주고 방법을 제시해주어 읽을수록 답답함이 풀어지는 기분이었다.




 



#말하기독서법 이 책은 총 4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는데

PART.1 에서는 이 책에서 제일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말하기'가 독후감보다 먼저인 이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읽기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글쓰기가 힘을 더해 책 읽는 능력을 탄탄하게 키워가게끔 돕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현재 아이들의 독서 환경은 무리한 독후활동, 특히 독서기록장 같은 글쓰기 활동에만 치우쳐 있습니다. 

그 결과 책을 멀리하는 아이들이 많아졌고요. ‘독후감 대신 말하기’로 책과 친분을 쌓도록 도와주세요.

(P.23 中)


내가 제일 고민했던 부분에 대한 답을 준 부분이다.

독서 후에 책 읽기, 생각하기, 글쓰기가 필수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생각이 오히려 아이들에게 독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좋아하는 영화를 보고 친구와 이야기하고 나면 그 영화가 더 좋아지듯

책을 읽은 후, 누군가와 즐기며 이야기 할 수 있다면?

독서가 즐거워지고, 그 독서 또한 오래 기억될 것이다.



읽은 것에 대해 잘 말할 수 있어야 글도 잘 쓸 수 있습니다. 
아이는 특히 더 그렇죠.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가는 과정에 놓인 아이에게 말하기는 일종의 연습 도구입니다.
 말하기를 통해 아이는 자기 생각을 들을 수 있습니다. 
즉, 자기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생각을 말로 표현해 보고 수정과 보완을 거쳐 
나름대로 완결된 생각의 덩어리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P.35 中)
 
그동안 아이의 독서와 감상에 대한 부분을 아이 스스로에게
모두 맡겼다면, '말하기 독서법'은 아이 혼자가 아닌,
엄마가 함께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아이가 독서를 하고 잘 이해했는지,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등
질문을 어떻게 해야 할지, 이 책을 통해 하나씩 만나볼 수 있었다.



 



잘 읽고 좋은 대화를 통해 아이의 생각을 어떻게 정리할지 도와주기 위해

아이와 함께 책을 읽고 어떻게 말해야할지 알려준다.





 




그리고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담는 PART이기도 하지만

내가 제일 중점적으로 읽었던 부분이기도 한 두 번째파트는

그림책, 동시, 동화책, 지식책을 읽고 말하기 독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다.

무엇보다 좋았던 점은 그림책 말하기, 동시 말하기, 동화책 말하기, 지식책 말하기가

어떤 도움이 되는지 알려주고 각 책 별로 

읽는 법, 말하는 법, 독후활동을 차근차근 설명해줘서

읽으면서 참 많은 도움이 되었던 부분이다.

또 책을 읽고, 느낀 점을 독서감상문으로 옮겨야 하는 글쓰기와 달리

각 책을 읽었을 때 어떤 독후활동을 해보면 좋을지에 대한 안내도 참 좋았던 것 같다.

그러고 보니 아이가 어릴 때 보던 전래동화를 같이 보고

책에 제시된 독후활동을 같이 할 때 아이가 매일 책을 골라 들고 왔던 기억이 난다.

독후활동을 통해 독서에 재미를 느끼고 그때 한참 엄마와 함께한 독서가

즐거웠던 것인데 그때 계속 함께해주지 못하고 한글을 아니

스스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 부분이 참 반성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세 번째와 네 번째 파트에서는

말하기 독서법에서 글쓰기 힘을 키워주는 말하기와

아이들 유형별 독서 지도법에 대해 알려준다.

우선은 두 번째 파트를 중점적으로 해볼 생각에 가볍게 읽고 넘어간 부분이었지만

앞으로도 반복해서 계속 읽을 생각이기에 앞으로 더 자세히 들여다보고 참고하게 될 것 같다.

말하기 독서법에 대한 지도 방법을 앞에서 따로 다뤘듯이

글쓰기를 어떻게 지도하면 되는지

글쓰기를 지도하는 저자의 원칙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준다.



 



책을 읽고 말하기를 하다 보면 아이 스스로도 더 좋은 내용으로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그렇게 생각을 말로 잘 표현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글쓰기 능력도 향상될 것이고, 독서에도 재미를 갖게 될 것이고 말이다.

이 책을 통해 부모가 함께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좋은 독서 교육임을

새삼 알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아이와 더 많은 이야기와 생각을 나눠보며,

아이도, 그리고 나도 함께 성장해 갈 수 있게 되면 좋겠다.


독서 교육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잘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