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수필 범우 한국 문예 신서 1
김용준 지음 / 범우사 / 2000년 6월
평점 :
품절


앞부분에는 일상에 얽힌 에세이, 뒷부분에는 동양화론이 실려 있다. 문예지 <문장>을 주도했던 한사람답게 격조있으면서도 가벼운 걸음의 문장들이 감탄스럽다.

생활인으로서, 가장으로서, 그리고 한 사람의 예술인으로서 가졌던 고민과 통찰이 궁핍하고 남루한 일상의 언저리를 더듬으며 생기있게 다가온다. 그러나 뭔가 목마른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에 대해 더 궁금하다. 1930년대와 40년대 지식인들의 일상의 내부가 투명한 스케치 이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근원 김용준, 오원과 단원을 흉내냈다는 의심을 사면서도, 흉내 잘내는 원숭이와 가깝다는 뜻에서 근원이란 호가 좋단다. 별다른 의미가 와닿지는 않는다. 그러나 뒷부분의 화론들은 정색하며 읽었다. 약전 형식의 장승업론, 최북과 임희지 등...동양화론이나조선조 화가들에 대한 연구가 그리 활발하지 않았던 당시 고전과 화론 일반에 대한 이만한 지식과 통찰은 얼마나 소중하고도 드문 목소리였을지.

정지용이 "무릇 시인이 동양화론에 바탕하면 비뚤은 길에 들지 않는다"고 했던가. 그가 김용준에 일정하게 영향받았다는 것은 익히 다 아는 사실일진대, 그에 대한 호기심을 더욱 동하게 하는 오랜만의 가벼운 독서였다는 것을 고백한다. 그의 문장과 그 문장들의 무게가 기억에 남는다. 김용준의 표현(그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사혁의 육법이나 곽희의 <임천고치> 등 고전 화론의 어법이지만)을 빌린다면, '방일'하면서도 '표일'한 문장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