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의 역사 - 현대 프랑스 철학총서 11
미셸 푸꼬 지음 / 인간사랑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고학이 하는 일은 묻혀 있던 것을 파내는 것이다. <광기의 역사>는 서구 르네상스와 고전주의 시대 지성사의 뒤에 숨어 있던, 혹은 파묻혀 있던 비이성과 광기의 얼굴을 파헤치면서 동시에 이성이라는 이름의 권력의 심장을 도려내어 전시하고 있다. 처음 푸코의 저서를 정독해 본 나로서는 먼저 이러한 연구방법론 자체가 상당한 충격과 경외감을 던져주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겠다.

이 책에서 푸코가 다루고 있는 것은 다름아닌 '광기'이다. 그는 광기가 어떻게 광기가 되어가는지 서술하는 것이다. 광기라는 이름이 비이성, 혹은 이성과 어떻게 교착하고 관통하고 비껴가고 배제하고 넘나드는지 수용소와 감옥, 그리고 병원의 설립, 혹은 간수와 의사, 그리고 사회적 권력망의 작동을 통해 냉정하게 파헤치고 있다. 푸코는 아무 것도 규정하지 않는다. 다만 규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고학은 역사가 없는 역사다. 경직된 역사주의를 거부한다. 그러나 미친 왕의 해골을 들어 낸 동굴과 뼈들의 계보는 또다시 역사를 구성한다. 그것은 물음표들로 가득 찬 역사다. 안타깝게도 푸코는 '왜'를 허용하지 않는다. '어떻게'는 구조주의가 보여줄 수 있는 전부이자 마지막 무기이다. 그것을 한계라고 말해야할 지는 모르겠다. 다만 갈 수 있는 데까지 그를 따라갈 밖에.

푸코가 이 책에서 보여주는 통찰들에 대한 상투적인 찬사를 덧붙이는 것은 이제 민망하고 무의미하기까지 하다. 몇 가지 아쉬운 점을 토로한다.

먼저, 오리지날 텍스트의 서지사항이 기입되어 있지 않다. 사소하게 지나칠 문제는 아닐 것이다. 둘째, 번역의 지나친 친절(예를 들면, pathos를 '비장한 힘'으로 번역해 주는 것)이 오히려 용어사용의 일관성에 의구심을 가지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