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결혼 시키기
앤 패디먼 지음, 정영목 옮김 / 지호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인 앤 패디먼은 저널리스트이다. <아메리칸 스칼러>의 편집자라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 씌어진 글들은 '평범한 독자'라는 이름으로 의회도서관의 잡지에 연재되었던 글이다.

저자는 기획자로부터 자신과 자신의 가족에 대해, 평범한 독자의 입장에서 글을 써 달라는 의뢰를 받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의 글들은 책이 가지고 있는 담론적 측면보다는 생활로서의 책읽기에 더 무게가 기울어져 있다.

책 읽기에 얽힌 저자의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가벼운 위트와 함께 풀어져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 책에 대한 뭔가 철학적인 담론을 기대했다면 (나와 마찬가지로) 책을 펼쳐 든 지 얼마 되지 않아 실망하게 될 게 틀림없다. 내 경우 이 책 전체를 3시간 만에 읽어버렸는데, ('읽어버리다'란 표현이 그럭저럭 마음에 든다) 이런 경우는 나로서는 흔치 않은 경우인데, 저널리스트다운 저자의 날렵하고 깔끔한 글솜씨와 옮긴이의 매끄러운 번역에 힘입은 바 크다고 생각된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너무 가볍다는 것. 가벼운 것 가체가 흠이 될 수는 없겠지만, 책과 지식을 다루고 생각하는 저자의 자세 역시 가볍다는 것. 좀 심하게 말하면 제국주의적이랄까. 저자의 독서목록에 큰 줄을 차지하는 것은 주로 영미문학이나 유럽과 미국의 저작에 한정되어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제3세계의 책들은 거의 읽지 않는데, 유일하게 중국의 문화에 대해 자신의 어머니가 공저자로 쓴 책이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정작 책의 내용보다는 서문을 쓴 사람이 자신의 어머니 이름을 한 번 밖에 언급하지 않았다는 얘기, 그래서 항의하고 사과받았다는 얘기가 전부이다.

저자는 자연, 역사, 심리, 문학 등 다방면에 관심이 있지만, 특히 탐험과 관련된 책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남극, 북극이나 오지 탐험이 제국주의 팽창 시기의 산물이었다는 생각이 다시 드는 것은 내 첫인상과 기대감을 충족해 주지 못한 배신감에 괜히 꼬여 있는 내 심사에서 오는 것일까.

그래도 이 책은 책을 무작정 좋아하는 애서가들에게는 무릎을 칠 정도의 동질감을 줄 만한 재미있는 꽁트들이 팝콘 튀듯 튀어오르고 있어, 유쾌하게 읽어볼 만 하다. 그리고 말미에 붙어 있는 '책에 대한 책' 서지들도 (책에 관심이 있는 장서가들이라면)본문 이상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