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데이아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18
에우리피데스 지음, 김기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22년 2월
평점 :
을유문화사의 <메데이아>는 그리스 3대 비극 작가인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작인 ‘알케스티스’, ‘메데이아’, ‘힙폴뤼토스’ 세 편이 수록된 희곡집이다.
<메데이아>의 첫 번째 장 ‘알케스티스’는 페라이의 왕인 남편 아드메토스를 대신해 죽게 되지만, 헤라클레스의 도움으로 환생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나는 이 이야기를 읽고 가족간의 희생이 당연한 것이거나 기대하는 것이 불행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희생은 당사자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한다는 의지인 것이지 가족이라고 해서 기대하면 안된다는 것을.
<메데이아>의 두 번째 장 ‘메데이아’는 사랑을 위해 남동생을 죽이는 등 가족을 배신해가며 물심양면으로 헌신했으나, 남편인 이아손이 메데이아를 배신하고 코린토스 왕의 딸과 결혼하려하자 끔찍하게 복수하는 이야기이다. 희곡인지라 자기 내면의 갈등을 인식과 심리적 동기, 의식의 흐름에 따른 자신의 의사 결정 과정을 대사로 처리하는데 은근 재미있다. 등장 인물 외에 코러스가 등장하는데, 코러스가 중립의 느낌이 아닌 편파적인 입장을 보인다. 코러스의 대사들이 사실은 이 극을 보는 관객들이 느끼는 바를 작가의 말로 전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메데이아>의 세 번째 장 ‘힙폴뤼토스’는 성애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복수로 비극이 펼쳐진다.
여성혐오 쩌는 남성중심적이고 심지어 자본주의적인 저 발언이 그리스 시대에 쓴거라니..오늘날의 막장 드라마의 원조가 아닐까 싶다.
<메데이아>에 수록된 세 편의 이야기는 모두 가족 간에 일어나는 희생과 배신, 블륜과 거짓말로 가족들이 ‘여성’을 매개로 사건이 벌어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여성들이 읽기에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으나, 그만큼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고 편견을 가지고 약자로 살아온 세월이 길다는 뜻도 될 것이다.
내가 지은 죄의 댓가를 내가 받는다면 좋을 텐데, 그것이 가족들에게도 이어져 불행하게 되니, 역시 신들은 복수를 제대로 할 줄 아는 거였다. 역시 인생은 그런 막장에서부터 인간이 지켜야 할 ‘선’을 발견하게 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