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가
반려동물, 그리고 그들을 사랑하는 '우리'에 대한 탐구
나는 전세집을 구하다 집주인의 반대로 키우던 고양이와 헤어졌던 경험이 있다. 그 일은 내게 큰 상처를 주었지만, 생명이 있는 것을 함부로 키우면 안된다는 가르침도 주었다.아이가 태어나고, 아이들이 자라 동물을 키우고 싶다고 졸라대자 아이들이 어릴 때 동물을 키우는게 정서적으로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기울어져 지금 키우는 고양이를 데려오게 되었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건, 절대 만만한 일이 아니다. 털도 날리고, 집안의 커튼이며 물건들을 부수거나 망쳐놓기도 한다.
그런데 나는 왜 이런 말도 안듣고 말썽을 부리는 반려묘를 키우는 걸까.
개인적으로, 사람이 동물을 데려다 키우는 것은 인간의 이기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나 또한, 자라나는 아이들의 정서에 좋지 않을까 하는 필요에 의해 먼지를 데려온 것 아닌가. 그래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게 옳다, 그르다 하는 것을 나는 도저히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것 하나는 확실히 말할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을 키우면서 인간 이외의 다른 종에 대한 의식과 이해가 높아졌다는 것.
그렇게 나는, 반려동물을 키우며 이전과는 또 다른 인간이 되어가고 있다.
"인간이 동물의 문제를 해결해야 우리 인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이것은 이상적인 결론이며, 동물과 인간이 오랫동안 맺어 온 우정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힌트이기도 하다. 우리는 먼저 동물이었기 때문에 인간이 될 수 있었다."
<살며, 사랑하며, 기르며> 375쪽
*이 글을 을유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감사히 읽고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