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간만에 나는 문학평론가 도정일의 말처럼 '산뜻하고 해맑은, 성장소설 이상의 성장소설'을 읽은 기분이다. 성장소설은 나의 유년의 한때를 떠올리게 된다. 나에게 있어 한 아이가 자라는 모습은 기쁜 일이면서도 그 동시에 가슴 한켠이 아려오는 일이다. 이미 지나가 버린 일이므로, 감히 되돌릴 수 없는 시간들임에 기억을 윤색하기만 했지만, 그래도 상처라고 말하는 것조차 너무 가벼운 느낌이어서 주저하게 되는 내가, 어른이 되는 것을 가로막을 만한 커다란 좌절이 있었기 때문일 테다. 여전히 성인답지 못한 내가 평생을 두고 가슴 절절해야할지도 모른다.

동구란 아이가 어른스럽게 일찍이 철이 든 모습은 애잔했다. 고 어린것이 어른스러운 모습은 전혀 비현실적이기지 않았다. 늦자라는 아이가 있듯이, 반대로 웃자라는 아이도 분명 있기 때문이다. 일찍 철드는 것이 자신을 버텨내기 위한 안간힘이란 것을 아는 사람은 분명 알 것이다. 어린 나이에도 철 든 체하면서 세상을 견뎌야하는 내가 그랬기 때문일까? 동구를 대견해하기보다는 가슴이 무너지는 아픔을 느껴야만 했다.

순박하고 여리고 착한 아이, 그리고 그를 둘러싼 사람들이 부조리해서 충분히 아픈 시대를 살아가는 그 사람들에게서 지금의 나, 과거의 나를 떠올린 것은 우연이 아닐 거다. 거울을 보는 것 마냥 지극히 감상으로만 읽어서 나는 작품을 읽는 내내 눈물을 훔쳐야만 했다. 동구의 아버지가 어머니를 때릴 때, 동생 영주가 장난감을 던져 아버지를 제지했을 때, 어머니가 영주를 남편의 위협으로부터 감싸며 하는 말 '영주한테 주먹질하면 내가 당신 죽여버릴 거야.' '정말 죽여버릴 거야. 당신 잠만 들면 죽일 수 있어.'하는 데서는 죽은 듯이 살아온 내 어머니를 떠올리면서 눈물을 찍어내야만 했다. 그리고 난독증인 동구를 따스하게 감싸며 정을 주는 박영은 선생님이 쓴 편지를 동구가 읽어 내려가는 장면에서, 동생 영주가 죽는 장면, 아버지가 벽에 머리를 박으며 꺼이꺼이 우는 장면, 동구가 할머니에게 노루너미에 가서 살자고 말하는 데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렇지만, 열살 아이가 말하는 그것이라고 보기에는 좀 과한 묘사와 표현은 눈에 거슬리는 것도 사실이었다. 나는 사소한 일에도 트집을 잡아가며 유난을 떨며 비판을 하지만, 나를 돌아보게 하는 소설에는 무작정 빠져들며 이성을 누그러뜨린다. 자기 곁을 어쩔 수 없이 떠난 영주과 선생님을 그리워하고 그토록 미워했던 아버지와 할머니를 이해하려 노력하는 동구의 모습을 나는 계속 떠올리고만 있다. 나도 이제는 그래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