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에서 일주일을 - 히드로 다이어리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끌렸던 것은 두 가지 이유다. 하나는 '알랭 드 보통'이라는 작가에 대한 기대감. '불안(The Anxiety)'을 보면서 철학, 예술, 역사를 넘나드는 작가의 해박한 지식을 보았고, '우리는 사랑했을까?(Essays in Love)'를 보면서 남자와 여자라는 오묘한 관계, 사랑에 대해 나름대로 철학적인 결론을 내리려 안간힘을 썼더랬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이라면, 그냥 가볍게 읽고 넘길 수 없는 뭔가 깊이 있는 위트가 묻어 있지 않을까?' 내겐 그런 기대가 있었다.  

   또 하나는 '공항'이라는 공간이 주는 정서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공항의 '이용객'보다는 '방문객'이었던 적이 더 많지만, 공항은 그저 상상만으로도 가슴 설레는 일들이 많을 것 같은 곳이다. 영화 '러브 액츄얼리'의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은 공항을 배경으로 한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만남과 헤어짐을 그렸던 그 장면들을 난 아직도 잊지 못한다. 공항은 처음과 마지막이 만나는 공간이다. 그래서 아쉽고, 그래서 설레는 공간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공항'이 주는 그런 낭만적인 그림을 꿈꾼다면 분명 실망할 것이다. 저자는 다분히 관찰자의 입장에서 공항을 바라본다. 감정의 동요를 이끌어낼 만큼 서정적이거나 아기자기하지 않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내가 기대한 바를 그대로 충족시켜 주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기대를 깼기 때문에 흥미로웠던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공항을 소유한 회사의 의뢰로 히드로 공항에 일주일동안 머물면서 이 글을 썼다고 한다. 17세기 철학자 토머스 홉스가 백작들의 돈을 받아 책을 썼던 예를 들먹이며, 상업과 예술의 만남에 대해 절대적으로 반박할 필요는 없다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렇다. 일단 이 글은 '공항'이라는 공간의 정서에 이끌린 한 작가의 순수하고 독보적인 작업이 아니다. 유명 작가의 문학적인 소양을 빌어, 히드로와 같은 세계적으로 큰 공항을 대중에게 설득력있게 알리고 싶은 치밀한 마케팅 전략이 숨어있다. 

  그렇더라도 책의 내용이 공항 안내 책자처럼 뻔뻔하지는 않다. 저자는 공항에서의 생활을 직접 체험하면서 최첨단 건축설비와 공항 직원들의 서비스, 여행객들의 일화적인 기록을 다룬다. 표를 끊는 모습, 보안대에서 검열을 받기 위해 줄을 서는 모습, 상점을 다니며 쇼핑을 하고, 남는 시간에 휴식을 즐기는 모습까지, 공항 안에서 늘상 대하는 익숙한 모습에 대해 하나 하나 관찰하듯이 다가가고 있다. 이런 광경들은 공항을 한번이라도 드나들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본 적이 있는 모습들이다. 하지만 공항은 우리에게 스쳐 지나가는 공간이다. 비행기라는 이동 수단을 타기 위해 거쳐 가는 공간이다. 그래서인지, 공항에서 겪게 되는 일들에 대한 기록이 굉장히 새삼스럽게 느껴진다.    

  찰자적 시각이라는 점과  배추 속 넣듯이 매 페이지마다 곁들여 있는 사진은 상업과 예술의 경계에 있는 '인디 잡지(Independent Magazine)'를 보는 것 같다. 사진에서 풍기는 화보적인 느낌은 사적이고 정서적이라기 보다는 기획적이고 의도적이다. 고용주가 작가에게는 어떠한 요구도 하지 않았다지만, 사진작가는 분명 회사와 연관이 있는 사람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차라리 어떤 사진도 없이 글로만 되어 있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다. 사진 이미지가 주는 자극이 글에서 오는 상상력을 방해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