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빌라
백수린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수린 작가의 소설을 오래도록 기다렸습니다. , 팬입니다. 김애란, 최은영 작가의 이름과 함께 늘 염두에 두고 있죠. 이번 소설집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그는 늘 길 위의 사람들에 주목합니다. 그들은 서로 언어가 달라 소통할 수 없는 곳에 놓인 사람들이죠. 언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천천히 마음을 열고 손을 내미는 이야기는 감동적이지만 마냥 성공적이지는 않습니다. 또 다른 한계에 부딪히고, 실패하며, 오해되고, 깨어집니다.

 

시간의 궤적에서 그 관계의 시작과 끝을 잘 보여줍니다. 서른 살의 나이에 직장을 그만두고 용기 내어 떠난 프랑스 파리에서 한 언니가 말을 걸어옵니다. 비가 흩뿌리는 파리에서 샹송을 배경으로 사람의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감동을 잘 표현해냅니다. 불안과 낯섦으로 가득한 곳에서 겨우 찾아낸 온기를 말이죠. 하지만 종종 불안하게 지속되던 관계의 끈은 어느 순간 툭 하고 끊어지듯 사라집니다.

 

여름의 빌라에서는 독일인 부부와 한국인 화자의 관계가 이어집니다. 역시 낯선 독일에서입니다. 독일인 부부는 생애 첫 유럽 여행 중이던 스물한 살의 아시아인 여자애를 따스하게 보살펴줬습니다. 첫 만남은 베를린의 작은 서점에서 시작됩니다. 언어는 권력관계를 형성하죠. 모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권력을 쥐게 되곤 합니다. 저는 백수린 작가가 늘 이 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봅니다. 의도적으로 인물들을 낯선 장소와 언어로 이끌죠. 이 소설에서 독일인 한스는 일본 문학 코너를 살피던 한국인 에게 일본어로 말을 겁니다. 그리고 일문학을 전공하는 는 일본어로 답합니다. 독일어라고는 인사말 정도밖에 하지 못하는 에게 베를린에 거주하는 독일인 한스가 부족한 일본어로 인사를 건네는 것이죠. 손을 내밉니다. 긴 시간을 지나 무대는 캄보디아 시엠레아프로 이어집니다. 역시 서로의 노력으로 쌓아온 우정이 깨어지나 싶은 위태로운 순간에 서로가 몰랐던 각자의 이야기가 드러납니다. 독일과 한국, 선의로 시작된다고 해도 온전한 이해와 공감이 불가능한 조건에서 우정의 관계란 과연 가능한가 생각해보게 됩니다.

 

폭설아직 집에는 가지 않을래요, 흑설탕 캔디, 아카시아 숲, 첫 입맞춤에서는 자신의 욕망을 발견하고,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여성들이 등장합니다. 십 대 여학생도 있고, 아직 수유중인 두 아이의 엄마도 있으며, 손주들을 봐주기 위해 아들을 따라 프랑스로 간 할머니도 있습니다. 물론 누군가는 과감하게 결심하고 떠나며, 누군가는 주저하지만 체념합니다. 떠나거나 머무는 결정을 하고 난 이후로 어떤 파장이 남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저에게는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떠난다고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머무른다고 모든 것이 안전한 것도 아닙니다. 각자에게 무엇이 남았을까요.

 

고요한 사건아주 잠깐 동안에는 재개발 예정지인 산동네를 배경으로 계급문제를 드러냅니다. 인물들은 도움이 필요한 이웃의 난처함을 의식하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보지만, 아주 잠깐 동안일 뿐 이를 지속시키기란 어렵습니다. 그래서 겨우 마련한 보금자리에서도 그들은 여전히 허기지고 외로움을 느낍니다.

 

가닿지 못하는 관계를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시도하는 작가의 몸부림 같습니다. 결국 또 실패할 것을 알면서도 놓을 수 없지 않냐고 애써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좋았습니다. 백수린 작가의 다른 소설들도 더 소개하고 싶네요.

 

#여름의빌라 #백수린 #문학동네 #시간의궤적 #폭설 #고요한사건 #흑설탕캔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