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한 유전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
강화길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정한 유전강화길 신작 소설 (arte, 2020)

 

그들에게 마을은 일종의 유전(遺傳)이었다.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집과 밭, 산과 나무, 그러니까 터전이라 부르던 곳. 아들이 아들에게 물려주고, 딸이 딸에게 전해 받은 것.” (p.7)

 

태어날 때부터 던져진 조건이 있습니다. 자라면서 요구되는 삶이 있죠. 나의 삶을 내가 결정하고 선택한다고 하기에는 만만치 않은 정황들을 떠안고 시작하게 됩니다. 인구는 백 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마을에서 자기 몫의 책임을 다하라는 요구를 벗어나 달아나려는 소녀들이 있습니다. 그녀들이 선택한 방법은 글을 쓰는 것입니다. 백일장에 나가 수상하고, 서울의 대학에 진학하려는 것이죠.

 

강화길 작가의 신작 소설 <다정한 유전>에는 글을 쓰는 여성들이 등장합니다. 그리고 그녀들이 쓴 소설들이 소설 안에 실려있습니다. 그녀들은 소설 속 인물을 통해 가족에게도 말하지 못한 자신과 친구의 이야기를 기록합니다. 이해되지 않는 고통과 우울, 불안과 외로움을 소설로 써 내려갑니다. 글쓰기를 통해 어딘가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쓰는 소녀. 엄마. 친구. 할머니. 내가 아닌 모든 사람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되죠. 그렇게 쓰는 행위가 서로를 연결합니다.

 

그때는 몰랐다. 내가 어떤 이야기를 직조한 것이 아니라, 나도 모르는 새 내면에 쌓여 있던 이야기가 그저 폭발하듯 풀려나왔던 것이라는 사실을. 그리고 그 이야기를 통해 내가 뭔가를 이해했고, 받아들이려 노력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을. (중략) 그래서 나는 계속 쓴다. 나는 이야기 속에서 나를 죽이고, 또 죽여서 다시는 살 수 없게 만든다. 그리고 그 아이를 살려낸다. 운명이 뒤집힌 그 이야기 속에서 글을 쓰는 건 내가 아니라 그녀다. 어딘가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쓰는 소녀. 엄마. 친구. 할머니. 내가 아닌 모든 사람들. 나는 그들을 통해 살아 있다.” (p.138)

 

콜라주 형태의 소설들이 교차하고 있어서 라고 말하는 일인칭 화자가 누구인지, 어디까지가 소설 속 소설인지 분명치 않아 짧은 분량임에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글을 쓰고 읽는다는 것, 다른 세계와 내가 연결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더군요. 과연 우리는 글쓰기와 읽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억압과 차별의 세계를 벗어나 새로운 유전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