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마라, 눈물이 네 몸을 녹일 것이니 - 인도가 내게 가르쳐 준 것들
이화경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인도에 관한 막연한 동경은 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하다.

그 사이의 여러명의 지인들이 인도 여행의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인도여행에 관한 여러 다큐들이 수많은 이미지들을 보여 주었다.

그것들이 인도에 관한 나의 동경이 지나치게 망상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것을 깨우쳐 주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짝사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언제가는 가봐야지 그렇게 단도리질만을 치고 있을 뿐,

한치의 생각도 물러나지 않은 채, 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가서 부딛치고 또 느껴보지 않은 이상, 이 고집불통을 꺾지 않을 거라는 것을.

 

그래서 인도와 관계된 것은 모두 내 관심사 안이다.

'울지 마라, 눈물이 네 몸을 녹일 것이니' 이 책도 역시 그 관심사 안에서 잡게 된 것이다.

 

마흔 즈음에 접한 글쓴이가

현실에 밀리고 밀려 도무지 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가는지 막막해질 때,

그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인도로 갔고,

그리고 2년 동안 그곳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이방인으로 살았다.

그녀의 개인적인 '회의' 속에서

인도가 도피처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가도가도 막막한 일상의 탈출이

그녀에게는 적어도 의미있는 일이었겠구나

그것을 가능하게 한 곳이 인도였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결국 다시 돌아오기 위해 떠난 것이었던 그녀의 여행 기록을 보면서

내가 느끼는 것이나 남이 느끼는 것이 별반 다르지 않다 싶었다.

단지 내것은 언어로 표현되지 못한 채 한숨으로 뱉어지는 것으로 말뿐.

그녀는 그것들을 문장으로 풀어내고 있다는 차이일 뿐. 그것이 하늘과 땅의 차이인가는 모를 일.

 

책 안에 있는 세상보다

내 안에 있는 세상에 더 침잠하게 하는 글들이었다.

그래서 내 안에 있는 '인도의 이미지'는 앞으로도, 뒤로도 물러나지 않은 채 그대로이다.

 

 

 

로마 병사들은 소금 월급을 받았다

소금을 얻기 위해 한 달을 싸웠고

소금으로 한 달을 살았다

나는 소금 병정

한 달 동안 몸 안의 소금기를 내주고

월급을 받는다

소금 방패를 들고

굵은 소금밭에서

넘어지지 않으려 버틴다

소금기를 더 잘 씻어내기 위하여

한 달을 절어 있었다

울지 마라

눈물이 너의 몸을 녹일 것이니

 

'소금 시'(윤성학)라는 제목의 짧은 시 한 편을 읽고 나서 잠깐 울었다. 울지 마라는 시인의 명령에 불복종하며 소금병정처럼 울었다. 소금 방패도 던져두고 굵은 소금밭에 자빠져 아픈 몸이 녹도록 울고 싶었다. 실컷 울고 난 뒤, 나는 소금을 얻기 위해 싸우러 세상으로 나갈 수 있었다. p79

 

그 소심하고 주눅 든 모습을 볼 때마다 나는 뭐라 말 할 수 없을 만큼 슬퍼졌다. 바닥에서 높이가 겨우 칠십 센티미터인 의자로 짜누를 끌어올리는데 걸린 시간은 내가 인도에서 수저 없이 맨손으로 밥을 카레 국물에 비벼먹고,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뒷일을 해결하는데 걸린 시간과 엇비슷했다. 육체와 마음에 스며든 질기고도 서글픈 관성으로 생의 바닥을 기어간다는 점에서 나와 짜누는 다를 바 없었다.

-p249

 

-자신이 아는 만큼 대상을 판단하고, 그 오해와 편견 속에서 세상에 살 발판을 확보하는 우스꽝스러운 짓, 나도 이골이 날만큼 저지른 짓 아니던가 p250

 

- 누군가 말했다. 여행이란 익숙한 조건에서 낯선 조건 속에서 존재를 밀어 넣는 일, 그래서 존재 앓기를 하는 일이라고. 익숙하던 일상이 불현듯 뜯겨져나가는 것, 예측 불가능한 순간과 매번 정면 대결하는 것, 갑작스런 풍경이 솥뚜껑 속 닭이 살아 튀어나오듯 눈앞에 펼쳐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바로 여행. 선 채로 오지 않는 기차를 밤새 기다리는 것, 매혹적인 불안을 즐기는 것, 낯선 세상의 무례를 겸허히 견디는 것, 이별을 즐기는 것, 밥 잘 먹고 똥 잘 싸고 잠 자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를 깨닫는 것, 미워한 사람들이 무지무지 애틋해지는 것, 신문에 어떤 기사가 났는지 알 수 없는 것, 세상은 넓고 사람은 다양하다는 것을 아는 것, 예전과 생판 달라진 나를 만나는 것, 무엇보다 자신의 한계를 발견하는 것, 그것을 경험하는 것이 여행이다. p3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