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희 몽골방랑 - 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김홍희 지음 / 예담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방랑하는 카메라의 다음 목적지는 언제나 인간의 따뜻한 심장이 뛰는 그곳이다.'' 

EBS 세계 테마 기행 ' 몽골편'을 보았다.

'광활한 대지에 대한 향수'

밑도 끝도 모를 이 감정은 불쑥 틔어올라서는 너무나 간절히 '떠나고 싶다'는 생각에 나를매몰시킨다. 

이 사진집은 그 마음이 이끈 책이다.

아무런 정보없이 그저 충동적으로 산 책이었는데

한낱 말장난에 그치는 일개의 책들과는 다르게

 작가의 철학이 깊다는 느낌을 받았다.

 

광활한 대지에 놓인 이방인의 눈으로

그 대상들을 바라보게 되면

쉽사리 동경이나 감성에 치우칠 수밖에 없겠다 싶은데

이 책은 오히려 건조하다 여겨질 만큼 담담하다.

그래서 '그대로의 모습'이 느껴진다.

몽골의 환상을 만들지 않으면서

몽골의 놓인 한 사진 작가의 자기 바라보기 

"사진은 방랑이다 방랑은 나로부터 떠나는 것이자, 나를 만나는 것이다. 사진은 내 안의 나를 찾는 일이다"

라고 쓰여진 작가 소개 글에서처럼.

  

"우리는 보이는 것을 찍는 척하지만, 실은 보이지 않는 것을 찍는다. 그리고 그 보지 못한 광경을 마치 본 것처럼 한 장의 인화지에 되살린다. 사람들은 그 광경을 사진가가 목격한 것으로 인정한다. 사진가는 실제로 보지 못한 것을, 사람들이 목격한 것으로 인정한다는 허위의 기초 위에 발표한다. 그 발표는 때로 전시로, 때로 책으로 묶인다. 그것들은 내가 거기 있었다는 증언이 되어 떠돈다. 그러나 그 증언은 나는 거기 있었지만 실은 그것을 보지 못했다는 또 다른 사실의 증거이기도 하다.

셔터가 끊어지는 순간, 화면 안은 검어지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그 찰나의 어둠은 생각보다 길게 흘렀다."

 

"배고픈 자에게는 진수성찬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내 카메라 앞에서의 볼품없는 초라한 국수 한 그릇일 뿐이다. 이것은 몽골의 사거리 식당에서 만난 초라한 국수의 '재현'이 아니라 '초라한'이라는 형용사적 의미의 '표현'이다.

배를 채우기 위한 국수 한 그릇 앞에서 최첨단 카메라로 연거푸 촬영을 해대는 것은 스스로 설정한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다른 많은 이미지들을 버리는 행위이다. 그건 어쩌면 스스로 설정한 어떤 의미를 생산하기 위해 떠도는 현대판 유목민의 또 다른 왜곡된 모습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국수 한 그릇의 이미지는 유목민의 현실과 동떨어진, 나 자신만의 느낌을 담아 오히려 그들의 삶을 왜곡하는 이미지가 되어 부유할 수 있도 있는 것이다."

 

"카메라는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언제나 닫혀 있듯 나의 눈도 그러했다. 외부의 힘이 없이는 셔터가 열리지 않듯 나 역시 외부로부터의 어떤 힘을 기대하며 떠돌았다. 스스로 셔터를 여는 카메라는 없다. 나는 쇠뭉치를 깎아 만든 한 대의 카메라와 다를 바 없었다.

몽골의 초원에서 길을 잃고 떠돌다 초라한 사거리 식당의 이정표를 보는 순간 알았다. 사람도 길도 없는 광야에서 오직 유일한 이정표는 나 자신이었다. 그리고 그 이정표는 동쪽으로 '무릉 이백사십일 킬로미터'라고 가리킬 때만이 존재 가치가 있다.

그리고 그 가리킴은 무심히 찍은 사진 한 장에서 출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