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계 재판 - 사람이 아닌 자의 이야기 ㅣ 다카기 아키미쓰 걸작선 2
다카기 아키미쓰 지음, 김선영 옮김 / 검은숲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저희 둘 사이에는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시체 한 구가
있었습니다."
1961년도 작품인데도
이렇게 생생하게 읽히다니. 그저 놀랄 따름이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재판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이 소설. 여느 추리소설과
비교하면 막판이 무지 싱겁게 느껴진다. 언제나 그렇듯 법정물이란 마지막엔 반드시 사건을 뒤집는 충격적인 반전이 나오길 기대하서일까? 기대하지
않아도 누구나 그렇게 생각할 것 같다.
<파계
재판>은 추리를 위한 추리소설이 아니다. 쉽게 말하면 사회파 추리소설이다. 다들 알면서도 일부로 외면하는, 사회의 암적인 문제점을 들춰
추리소설과 연결한다. 그 부분을 얘기하면 스포가 될 위험성이 있기에 일단 빼고 얘기한다.
내용을
얘기하자면, 무명 연극배우 무라타라는 남자가 내연녀와 함께 남편을 살해하고 곧
내연녀까지 죽인다. 또한 두 건의 살인을 감추기 위해 사체까지 훼손한 극악무도한 남자. 도대체 무라타는 왜 그런
짓을 저질렀을까?
이
혐의를 바탕으로 재판을 시작한다. 이 재판의
처음부터 끝까지 변호사와 증인들, 검사와 피해자 무라타까지 정말 법정에서 듣는 듯한 생생함이 담겨 있다. 혐의는 어디까지 혐의일 뿐, 피해자
무라타는 단 한 건만 제외하고 모두 부인했다. 인정한 그 한 건은 죽은 내연녀의 남편을 자신의 차로 사체 유기를 도운 것뿐이다.
▣검사측의
주장: 무라타와 내연녀의 관계가 틀통나자 내연녀 남편을 죽이고 사체를 유기. 그런데도 불안한 나머지 내연녀 마저 죽이고 사체를
유기했다.
▣무라타의
주장: 어느 날 밤, 갑자기 내연녀의 급박한 전화 한 통. 죽은 그녀의 남편 사체를 유기했다. 나머지는 자신과 관계가 없으며
전후 사정도 모른다.
|
정확한 사실 증거는
없지만 정황은 있는 상태다. 무라타에게 불리한 상황에서 사건은 시작된다. 누가 보더라도 무라타는 범인이었다. 그 이유는 그의 살아온 발자취
때문이다. '발자취'란 그가 이제까지 살아온 과정이다. 살아온 과정을 바탕으로 그 인물이 살인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근거가 있을까, 생각하지만
인간이란 그런 존재다. A라는 남자가 잘못해서 교통사고를 일으켰다고 하자. 몇 달 뒤 교통사고로 A와 B가 다투고 있는데 경찰이
와서 '어..전에 A씨는 교통사고 조사를 받았었네?'라는 한마디로 A가 잘못했다는 '듯'한 분위기로 몰아갈 수 있다.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
우리 주위에서 흔히 발생한다.
편견이라는
게 참 미묘하다. 부정적인 생각이지만 누구나 가지고 있다. 난 분명 그런 건 신경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도 내
머리는 '편견이라는 굴레'가 존재한다. 그 사람의 행동, 외모, 입은 옷, 스펙 등 이런 것들이 모여 그 사람의 인상을 만들고 더 나아가 그
사람을 완성시킨다.
<파계 재판>은 재밌는 법정 서스펜션 스릴러다. 짜릿한 반전은 없지만 탄탄한 사건 구성으로
읽는 재미와 '정의란 무엇인가'를 다시금 생각해본다. 생각보다 이 책에 대해 만족하며 읽었지만 마지막 이상한(?)
챕터가 끼어 드는 바람에 만족감을 절반이나 깎아 먹었다..+_+
도대체 그 부분은 왜
넣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하긴 힘들다..하지만, 다카기 아키미쓰란 작가의 다른 책도 보고 싶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