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감정수업 - 스피노자와 함께 배우는 인간의 48가지 얼굴
강신주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왜 인문학인가?

그 해답을 주는 책 한 권을 꼽으라 하면 <강신주의 감정수업>을 택할 것이다. 

  

 

왜 수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을 공부하라고 할까? 도대체 인문학이 무엇일까?

인문학이란 간단히 말해 '인간'이란 무엇인지 탐구하는 문학이다. 고로 스스로 하는 행위들의 해석을 도와주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남들과 똑같은 주입식 교육을 받고 남들 하는 대로 열심히 살아 온 우리 세대들은 특히나 인문학을 공부할 필요가 있다. 사회에 나가기 전까지, 혹은 사회에서까지 튀지 않고 남들과 동일하게 행동하도록 강요받아 왔다. 그 결과로 자신이 무엇을 해야 좋아하는지, 무엇을 하면 싫어하는지조차 모르며 살아왔다. 감정까지도 따라 하려 하고 있다. 남들이 웃으면 웃고 남들이 눈물을 흘리면 슬퍼한다. 개미들처럼 뭉치거나 우르르 떼지어 다니는 것이 자연스럽고 편안하다. 이미 철저하게 감정과 정신까지 길들여져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린 고독과 외로움, 사랑과 우정, 슬픔과 고통 이런 감정들조차 알아차리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리고 누군가 자신의 감정을 정해주길 기다리고 있다.

이미 자신의 선택따위는 포기한 채 말이다.

 

<강신주의 감정수업>은 읽기 편한, 친절한 감정 안내서다. 다소 딱딱하고 지루할 수 있는 인문철학서를 깔끔하게 포장시켰다. 인간에 대해 가장 탐구적으로 세계에서 인정받은 세계문학을 내세워서 말이다. 세계문학을 예를 들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인식시켜 주고 이 책의 핵심인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를 활짝 열어주었다. 사랑이란 무엇인지, 절망이란 무엇인지, 분노, 질투란...

 

이 책 덕분에 세계문학전집의 유명한 명작들을 한번 훑은 기분이다. 물론 그중 읽고 싶은 책들은 따로 읽어볼 작정이다. 난 스스로 감정에 대해 솔직하다 생각했지만, 이 책을 보니 그동안 나는 30% 정도 솔직했던 것 같다. 남들 시선이 두렵고 쑥스럽고 혹시나 상처 입을까 피하기도 했던 내 모습이 바보 같아 보였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어느 정도의 가식이나 가면이 필요하지만, 솔직한 감정을 내보이는 것 역시 필요하다. 만들어진 가면과 원래의 나 사이에 끊임없이 갈등할 때, 이미 나는 남들과 똑같이 해야 된다는 거울이 됐는지 모른다.

 

난 언제나 갈대처럼 흔들리기만 하는 존재인가 보다. 끊임없이 무언가 욕망하는 나를 발견한다.

그래도 어쩌겠어? 스스로에게 솔직해져야지.

마치 위대한 개츠비처럼 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