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5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떠졌다. 지금 시각은 새벽 4시 10분. 창밖은 고요하고 적막하기만 하다. 다시 잠을 청하는 건 아.마.도 틀렸으리라.

잠 많은 내가 알람의 도움 없이 꼭두새벽에 눈을 뜨다니, 마지막으로 이렇게 눈을 떠본 게 언제였는지 기억나지도 않는다. 그런 내가 눈을 뜰 수밖에 없었던 이유. 바로 작고 귀여운 검은 악마 <롤리타> 때문이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누구나 한번쯤 학창 시절에 야시시한 소설로 소개받아 호기심을 느껴본 적이 있었으리라. 나 역시 그중 하나였지만 그건 내가 성숙하기 이 ‘전’의 얘기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라인으로 <롤리타>가 출간된다는 소식을 듣고 궁금했다. 그렇고 그런 소설이든 저렇고 저런 소설이든 나보코프란 작가가 궁금했다. 그리고 <롤리타>는 또 어떤 소설인지 내가 직접 읽어봐야겠다고..

 

새벽 6시 50분. <롤리타>를 정복했다. 새벽 시간이라 그런지 집중력이 흐트러지지 않았다. 읽는 내내 나는 주인공인 양 마음이 쪼그라들었다가 펴지기를 반복,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었다. 주인공 험버트가 롤리타의 손짓 발짓에 절절히 반응하는 그 섬세하고 간절한 마음까지 그대로 전달돼왔다. 비록 소설이지만 롤리타에 항상 애간장을 태우는 험버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 서른일곱 살의 험버트, 그의 마음을 뒤흔드는 발칙한 매력의 열두 살 소녀 롤리타. 세간의 눈으로 보면 그저 변태성욕자의 비뚤어진 애정 행각일 뿐이지만 적어도, 험버트에게는 죽음을 각오할 정도로 애절하고 간절한 사랑이었다. 세상이 만들어낸 틀로, 심리분석학적으로 해석하자면 비정상적인 사랑일지 몰라도 사랑이란 감정으로 보면 보통 사람들의 그것보다 측은한 마음까지 드는 것이다. 떳떳하게 사랑할 수 없을 뿐더러 사랑하는 롤리타가 자신의 마음을 이해 못하고 떠날까 두려워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눈치만 보면 다행일지 모른다. 그가 남자이기에 사랑하는 롤리타에게 사랑과 더불어 갖게 되는, 활화산처럼 치밀어 오르는 욕망까지는 신도 어쩌지 못할 것이다. 이래저래 그에겐 힘든 하루하루였다.

 

그는 롤리타를 보기 위해 마음에도 없는 그녀의 어머니와 결혼하기에 이른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그걸 사랑하는 사람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 생각해보면 그 역시 불쌍해서 눈물이 앞을 가릴 정도다. 비록 비정상적인 결혼은 불행으로 끝났지만 자신의 딸이 된 롤리타는 지켜냈다. (스포라 이유는 생략.) 이때부터 그에겐 인생 최대의 행복이 찾아온다. 롤리타와 함께 미국 여정을 떠난 것이다. 그를 기다리는 건 비참한 결말뿐이었지만 그래도 험버트는 행복했을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롤리타와 함께였으니까 말이다. 누가 험버트를 욕할 것인가? 이토록 애절하고 슬픈 한 남자의 위대한 사랑 이야기를.....

 

2013년에 읽은 최고의 책 베스트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난 주저 없이 <롤리타>라 꼽을 것이다. 2013년이 열 달이나 남은 상황에서 무슨 소리를 하느냐 반문할지 모른다. 그렇지만 난 단호하게 말하고 싶다.

<롤리타>는 그 정도로 매.력.적.인. 소설이라고.

 

<롤리타> 총 497페이지를 소화하는 동안 롤리타에게 매료됐고 험버트에겐 동정을 금할 수 없었다. 이런 책은 금서로 지정되어야 한다. 지나치게 빠져들기 때문이다. 당분간 내 머릿속은 개구쟁이 험버트의 장난스런 말투와 사랑을 위해 후회 없이 불나방이 되어 뛰어드는 모습으로 뒤덮일 것이다. 당분간 다른 책은 손에 잡히지 않아 힘들겠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