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의 초점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양억관 옮김 / 이상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요즘들어 사회파 추리소설 읽는 재미에 푹 빠졌다. 그동안 나에겐 추리소설이란 쏠쏠한 읽는 '재미'였지만 사회적 배경이란 소스를 덮어버리자 더 맛있고 중독성 있는 덮밥이 완성됐다. 마쓰모토 세이초가 얘기하는 '해결하기 어려운 사건이 생기고, 이후 탐정이나 형가다 등장해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형식'이 아니라 '사건 해결이나 트릭을 푸는 것만큼 사회적 배경과 동기를 중시해야 한다. 일상에서 언제든지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작품을 완성한다.'는 것이다. 답은 이미 존재하고 그 과정을 작가의 똘마니(형사 등)가 개입하여 문제를 이러쿵 저러쿵 떠들다 결국 범인은 00다!, 라고 푸는 게 얼마나 어리석냐는 것이다. 이는 나도 동감하는 바이며 그런 추리나 사건들은 별로 현실적이지도 않을 뿐더러 천재적인 탐정들이 알아서 푸는 공식에 휘둘리다보면 내가 뭘 읽었는지 깝깝할 때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물론 다 그렇다는 게 아니라 그런, 일정한 틀에 짜맞춰진 추리소설들이 그렇다는 것이다. 나 역시 낯선 별장에 친구들끼리 놀라왔다가 누군가 사람이 죽고 경찰이 개입하는 뻔하디 뻔한 크레파스 추리보다는 사회적인 이슈나 배경, 근거라 할 수 있는 팩트를 중심으로 짜여진 소설이 더 가슴이 와 닿는다. 그래서 마쓰모토 세이초가 마음에 든다.^^

 

그래서 더욱 <제로의 초점>이란 책은 어떤 배경에 어떤 사건이 나올지 무척 궁금했다. 그런데, 사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일까? 책이란 적어도 독자들의 긴장감이나 애간장을 쥐락펴락하며 농락해야 하거늘 이 책엔 그다지 긴장감의 기복이 일렁이지 못했다. 다시 말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쭉 비슷비슷한 기분으로 읽었다 해도 과연이 아니었다. 내용은 괜찮았지만 처음부터 쭉 기분은 '-------'이랬다고나 할까? 원래는 '___---_-__--_-^^^^_' 이런 기복이 참 좋은데....쩝(이해하시려나..ㅎㅎ)

 

처음 시작은 이랬다. 낯선 남녀가 중매를 통해 결혼을 한다.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결혼. 개인적으로 이해는 잘 안되지만 어쨋든 일본에선 1950년대엔 그랬나 보지 뭐.+_+ 그렇게 신혼 여행을 다녀와서 집으로 돌아온다. 남편의 직장은 지방이었는데 결혼과 동시에 도쿄로 발령을 받아 마지막 정리를 하러 지방으로 출장을 떠난다. 그런데 온다던 남편의 소식은 없고 온데간데 사라져버린다. 걱정된 마음으로 부인은 남편의 행방을 찾으러 지방에 있는 직장으로 떠난다. 회사 동료들과 주위 사람들에게 남편 소식을 물어보다 문득 남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때부터 남편 과거의 정보를 조금씩 얻으며 행적을 쫓는다. 며칠 후 아주버님이 동생(남편)을 찾으러 지방에 내려갔다가 타살을 당하는데.....

 

결혼을 하자마자 사라지는 남편. 그에게 어떤 이유가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그때문에 주위의 사람들은 하나 둘씩 죽는다. 공통점이 있다면 남편을 찾는다는 것. 왜 그 남편을 찾는 사람들은 죽어야만 하는지 마지막에 비로소 이유가 하나씩 밝혀진다.

진행되는 스토리는 괜찮았다. 그런데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결혼식을 막 마친 행불자 부인(26살)이 사건을 처음부터 끝까지 파헤친다.+_+; 솔직히 좀 이해는 되지 않지만 결혼한 남편이 사라진 마당에 따지고 자시고 할 게 없겠지...찾아야 하는 이유가 있으니까. 중간부터는 남편이 죽었는지 살았는지가 궁금한 게 아니라 '왜' 사라져야만 했는지 이유를 찾는다. 그런 이유에서 보면 누구보다 부인이 사건을 풀어가는 게 좀 더 자연스러운 것인지 모른다. 참고로 이 소설은 1959년에 일본에서 출간됐다.^^;

<제로의 초점>을 다 읽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는 것. 인간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무서운 존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