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의 그림자 2
매튜 펄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어려서 서점에 가면 추리소설코너에 자리잡고 앉아 홈즈 시리즈만 줄창 읽어댔었다. 그외엔 아무도 몰랐다. 애거서 크리스티도 애드거 앨런 포도, 오직 코난 도일 뿐이었다. 그래서 일까? 책을 펼칠수록 혼란스러워졌다.
포의 죽음의 진상을 밝히길 원하는 주인공은 자신을 도와줄 진짜 뒤팽을 찾으려고 했고 두명의 뒤팽의 공방전(혹은 일방전)이 이어졌다. 더듬더듬 앞으로 나아가는데, 한사람의 뒤팽은 죽고 다른 한사람은 실종되고 한 나라의 정치적인 문제로까지 뻗어나갔다.  게다가 차례로 나타난 증거들로 이리저리 퍼즐을 맞추며 읽다보면 뒤퐁트는 보이는게 전부가 아니라며 머릿속을 헤집어 놓았고 맹목적이기까지한 주인공의 갈팡질팡한 심리와 전혀 그 속을 알 수없는 뒤팽은 마음을 뒤집어 놓았다. 포의 다른 소설들을 읽어보고 난 뒤라면, 애드가 앨런 포나 그의 소설에, 특히 뒤팽에 대해 습득한 정보가 있었을테니 이리저리 레이더망을 펼쳐 조합 할 수도 있었겠지만, 백지 상태에서 그 주변에 대해 파헤치는 내용을 쉽사리 따라 갈 수가 없었다. 단순하게도 난 이 소설이 정말 죽음에 관한 미스테리를 풀어가는 것이라 곧이 곧대로 여겼고 끝까지 그 믿음을 유지했다.(2권을 읽으면서도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진행이 너무 느리다고만 생각했다 ㅡㅡ;)  결국, 모든 것이 마무리될 때 쯤에서야 비로소 내가 책을 잘 못 읽고 있었단 것을 알았다. 선입견에 사로잡혀 엉뚱한 마음으로 책을 읽고 있었으니, 그 내용이 제대로 들어올리 만무했다.  


포의 소설들을 망라하며 짜 맞혀져 들어가는 전개와 사실 위에 가감되는 상상력(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부터가 상상인지 아리송하지만..)을 보며 매튜 펄의 치밀함과 광범위함에 놀랐고 한편으론 진실과 추리의 거리는 과연 얼마나 될지 궁금해졌다.  사건정황이나, 감정등 사건을 겪은 본인만이 정확히 알수 있는 사실을 전혀 직접적 관계없던 사람이 이런 저런 관련단서들를 조합하고 파헤쳐 그것에 다가간다는 것이 감탄스러우면서도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 생각하니 으슬으슬하다.
내용에서도 뒤팽과 뒤퐁트가 전혀 다른가설을 내놓지 않았던가.
 추리소설이 너무 읽고싶었던 사람치고 이번은 내가 너무 어리숙했지만 추리소설에 대한 색다른 접근방식은 내가 아직 고전에 더 친숙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함과 동시에 현대추리소설의 매력(물론 매튜 펄도 포함해서 ㅋㅋ)에 흥미를 갖게하기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포의 소설들을 좀 더 읽어본 뒤에 다시 제대로 음미할수 있는 두번째 기회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