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총 일곱 편이 수록된, 오랜만에 나온 단편집이다. 아무리 좋아하는 음악가의 앨범을 사더라도 모든 곡이 맘에 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 단편집에서 가장 좋아하는 작품을 고르라고 하는 것은 나에게 너무 어려운 일이다. 책장이 넘어가는 게 아까우면서도  그 다음이 궁금하여 팽팽한 긴장감을 가지고 읽었다.

  각 단편 하나만 해도 이것저것 이야기할 것이 많지만 공통되는 부분을 (억지로) 추출해보자면 "바깥은 여름"의 소설들은 인간의 다면적인 부분을 깊게 응시하고 있다.

   "바깥은 여름"은 '풍경의 쓸모'의 일부에서 따왔지만, 이 책만의 제목이다.(흥미롭게도 맨 처음 소설은 입동이다.) 이 제목을 보면 자연스럽게 그렇다면 안은? 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안은 알 수 없다. "바깥은 여름"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하게 바깥 상태에 대한 정보 전달일 수도 있지만 안쪽의 상태와 비교하는 화법일 수도 있다. 비교보다 대조에 가깝다는 생각도 든다. "바깥도 여름"은 아니니까. '풍경의 쓸모'에서도 겨울 날씨와 비교되어 쓰이는 표현이다.(156- 유리볼 안에선 하얀 눈보라가 흩날리는데, 구 바깥은 온통 여름인.) 또한 바깥은, 가리지 않는 장소를 말한다. 트인 곳은 여름이다. 밖도 여러 사정이 존재하겠지만 사람들은 바깥을 통해, 바깥과 정반대일 수도 있는 안쪽의 사정을 겨우 상상하고 오해할 뿐이다. '입동'의 초반부에서 아내의 행동을 접했을 때와 소설을 다 읽고 그녀의 행동을 다시 판단할 때의 기준은, 전혀 달라진다. 다른 사람들은 안쪽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