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기쁨"은 금정연과 정지돈이 함께 쓴 글들을 모은 책이다. 이 책은 크게 1.2015년 여름~ 2016년 여름까지 "작가세계" 잡지에 연재했던 소설에 관한 대담 2. 오한기의 "의인법"과 이상우의 "프리즘"에 대한 해설을 재수록(이 부분은 재탕이라고 해야하나) 3. 경기문화 재단 웹진 '톡톡 talk talk'에 연재했던 페이퍼 시네마 '펫 시티'의 일부와 그에 대한 코멘터리로 이루어져있다. 

  다시 정리하자면 대담/해설/페이퍼 시네마(+코멘터리)로 이루어진 책이라는 것이다. 대담이면 대담만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형식주의자인 나는 찝찝했다. 왜 이런 구조가 된 것인가 이것은 마치 만화가들이 단행본을 낼 때 모자란 페이지 수를 데뷔 때의 단편으로 채우는 것 같은 것일까.. 알 수는 없고 특별히 알 이유도 없다. 



- 한국 소설을 누가 읽지? - 

  어문학과를 나는 늘 소설을 누가 읽을까 생각해왔다. 삼성의 갤럭시가 얼마나 팔렸나는 기사에서 볼 수 있지만 책이 얼마 팔렸는지는 보여주지 않는다.. 어째서??? 출판사도 기업인데 판매량 체크는 할 것 아닌가. 알라딘에서 판매지수를 보면 감이 올까? 물론 종종 유명 작가가 이만큼이나 팔았다고 기사가 나오기는 하는데 그 수는 영화 천만 관객에 비하면 발가락 정도의 수치다. 이광수의 오빠 부대가 있었던 시절이 있다고 하지만(아직도 존재한다고 한다...) 지금 와서 소설은 약간 LP판 같은 게 아닐까... 

  하지만 거의 모든 학교에는 국문과 혹은 문창과가 있다. 없어지는 추세인 것 같지만.. 그럼 꽤 많은 사람들이 문학을.. 그 중에서도 소설을 읽지 않을까? 국문과는 "국어국문"의 줄인말이기 때문에 크게 어학/문학으로 나뉘고 어문학과인 나는 어학 수업을 거의 듣지 않고 졸업했기 때문에 당연히 그 반대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학의 기쁨"은 금정연과 정지돈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좋아할 수밖에 없고 한국 현대 문학, 특히 소설과 비평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깨알 같은 재미를 선사한다. 국문과 사람들이 알아듣는 국문과 개그/드립 같은 느낌이다. 예를 들자면 '시흥의 밤'에서의 사사키 아타루에 대한 것인데


무아지경에 빠져 랩을 하는 사사키

의식이 절정에 오르는 순간, 허리춤에 차고 있던 칼을 꺼내 손목을 자른다.

잘린 손목에서 뿜어져나오는 붉은 피!!

('시흥의 밤' 186)


  설명하면 개그가 아니라고 하지만 설명을 해보자면 사사키 아타루는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이라는 책의 저자이다. 이런 부분에서 나는 풉하고 웃어버리는 것이다.


  물론 나도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은 아니라 모든 드립을 알아들을 수는 없었다. 패러디 만화의 모든 패러디를 잡아낼 수 없지 않은가. 최대한 모르는 단어들을 찾아봤지만 위상수학이 나올 때는 모든 것을 포기했다. 네이버의 설명이 너무 불친절한 것도 있었다. 저자와의 만남에 갔다면 설명해달라고 했을 텐데....

  뒷표지에 본문 인용이 있는데 가장 대담스러운 부분을 인용한 것 같다. 그러나 대담에서도 갑자기 금정연은 변기를 업고 나타나서 곤란한 부분을 말할 때 변기물을 내려버린다.(나중에는 그냥 재미로 내리는 것 같기도 하다.) 어른의 사정 때문인가? (미국은 땅이 넓어서 서로 디스를 해도 만나려면 한참 걸리는데 한국은 그렇지 않아서 조심해야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 같다..) 싶으면서도 어떤 소설은 재미가 없다거나 별로라고 말하기도 한다. 

  두 분의 대담집을 계속 단행본으로 내주거나 후장사실주의자들이 아날리얼리즘 vol.2를 빨리 내주었으면 좋겠다. 만약 출판되면 소설을 좋아하는 나는 소설을 사람들이 생각보다 꽤 많이 읽는다고 생각하며 즐거워할 수 있을 것 같다.

  참 이 책 사진도 들어 있고 무려 칼라다!! 호화로워..!
(루페는 문학동네 임프린트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