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사게 된 것은, 그 설정의 참신함 때문이었다.

원래 특이한 설정이나 상상력이 돋보이는 소설을 좋아하는지라 선택했는데...

아마 다시 읽으려면 오랜 시간이 지나야 하지 않을까 싶은 느낌의 소설이다.

 

아, 작품이 별로였냐고 한다면 그건 아니다.

인간의 본성의 추악함, 그리고 '판도라의 상자'에서 마지막으로 희망이 남아있었듯이,

인간 본성의 추악함 속에서도 희망이 있음을 알려주기에 그나마 편한 마음으로 책장을 덮을 수 있었으나

중간에는 가끔 책 보는 것을 그만두고 싶을 정도로 속이 메스껍기도 했다.

 

한 명, 두 명씩 이유를 알 수 없이 기하급수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의 눈이 멀고,

눈이 안 보인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사람들은 무엇보다 본성 하나에 가장 충실한 자들이 되고 만다.

나는 책을 읽으면서 상상해 버렸다.

과거 정신병원으로 쓰였던 하얀 건물, 커다란 방 안에 벽마다 붙여진 병실 침대들,

복도에는 오물이 가득하고, 맹인으로서의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들은 아마 유령처럼

손으로 허공을 휘저으며 걸어다닐 것이다.

의사의 부인은 그 광경들은 처음에는 질린 눈으로 끔찍해하며 보겠지만,

나중에는 아마 그녀도 덤덤한 눈으로 보게 되겠지.

그러한 광경들을 상상하는 동안에, 내 속에서는 욕지기가 끊임없이 올라왔다.

나중에 총을 가진 눈먼자들이 총을 빌미로 이런저런 것들을 요구하게 되었을 때는,

인간이 가지는 '권력'이란 것에 대한 추악함에 치를 떨 수밖에 없었다.

 

책을 읽을 때는 오로지 이런 심정이었다.

처음에는 '오, 독특한 설정.', 조금 더 읽으면서는 '으, 끔찍하다.', 점점 더 읽으면서는

'윽, 욕지기가 쏠려...', 나중에 가서는 '대체 이 작가는 어디까지 더 갈 것인가? 얼마나 더 철저하게

인간 본성이라는 것을 나락으로 떨어뜨리려는 것일까?' 이런 마음으로 읽었다.

대체 인간이 얼마나 더 추악하고, 본성에 충실하게 될 것인가...

어떻든 그러한 부분들을 넘어서서

나중에 베란다에서 쏟아지는 비를 온몸으로 맞으면서 살아있음을 느끼는 부분은

정말 인상 깊었다.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표류하다가,

등대의 불빛을 보고서 원래 왔던 지점이 어디인지 깨닫게 된다고나 할까?

아니, 원래 왔던 곳이 아니다. 새로운 곳이다.

인간 본성의 끝을 보고 난 이후에 새롭게 태어난 '인간다움'을 알게 된 이들이 모인 곳이 되었으니.

 

하여간... 뭐, 끝에 몇 자 덧붙이자면,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은 이제 함부로 손 대기가 무서울 정도이다.

흡입력 있는 재미있는 작품이었지만, 너무 무시무시했어서...

읽으면서 참 심리적으로 힘들었던 작품... ㅎㅎ 그러나 멋진 작품임에는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