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떠한 장르든 마찬가지겠지만 소설로서 팬을 유지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독자는 참신한 창작을 통해서 작가와 첫만남을 갖고 작가의 지속적인 마니아로서 남을것처럼 행동하지만 지나친 변신이나 또 변하지 않는 안주, 그 어느것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작가 정유정은 그러한 면만 본다고 한다고 하자면 본인의 시그니처를 가지며 진보하는. 말하자면 대중성을 잃치않는 품격을 가진 이 시대의 몇안되는 작가라고 할수있을 것이다. 내 심장을 쏴라. 에서 정신병원으로 시작된 무대는 두번째 작품인 7년의 밤.으로 저수지라는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모했고, 다시 이번 작품인 28에선 가상의도시라는 스케일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28의 블록버스터적인 스케일은 전작 7년의 밤의 성공이 자신감으로 이어진 결과다. 28을 비롯한 정유정의 작품은 불편하다. 기묘한 코드로 웃음을 던질때도 있지만 그러나 로멘틴 코메디 와 같은 휘발성웃음을 선사하진 않는다. 인간으로 부터 희망을 찾기보다 오히려 그 반대인 상황에서도 이겨내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려 애를 쓴다. 가상의 도시 화양에서 벌어지는 이유모를 괴질로 인한 사건과 아픔을 주요 모티브로 삼고 있지만 이 작품은 재난영화와 같은 시선보다는 인간에 대한 증오를 전개의 도구로 삼고있다. 이 작품은 그러한 관점에서 시작 하다보니 사건의 시벌점이 된 괴질의 해결로 이어지는 선악구도로서 설정을 이원화 하지 않는다. 오히려 외부로부터의 지원과 구조를 단절시켜 구성원들을 보다 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게 하는 설정도 마다 않는다 이번 작품 또한 결코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그럼에도 좋은 점수를. 못 주는건 7년의 밤이라는 본인이 만들어 낸 발군의 전작 덕분이다. 7년의 밤이 본 작품보다 앞선던건 다른 작품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독창적인 소재와 전개였다. 그리고 그것이 가능했던 작가의 노력이 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소설을 보는 내내 언젠가 봤던 "아웃브레이크"이라 더스트호프만 주연의 헐리우드 영화 한편이 머리속에 있었다. 한 소도시에서 벌어진 전염병으로 군 최고 사령부는 마을을 봉쇄하고 심지어 빠져 나가려는 이들을 총검으로 막고 일부는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는 이 내용은 28과 기본적인 시놉시스를 같이 한다. 그 영화와 이 작품은 다르다 하면 할말이 없지만, 그래도 난 이 영화가 전염병 영화의 교과서적인 역할을 부정할 수 없다. 이유야 어떻든 그래도 난 정유정이 여전히 좋고, 다음 작품도 기대하고 있다. 혹 내 이 글에서 그 좋음이 안 느껴진다고 할지라도 말이다. 2013년 7월. 내 36번째 생일은 28과 함께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