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읽는 브리태니커 - 백과사전을 통째로 집어삼킨 남자의 가공할만한 지식탐험
A.J.제이콥스 지음, 표정훈,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후감이란 책을 읽고 나서의 감상문을 적는 것이라는 선생님의 설명에 나는 그렇다면 백과사전이나 전화번호부 같은 책도 그 대상이 되냐는 질문으로 맞받아친적이 있다.
난 정말 그때 초등학생이었기에 그저 선생님의 째려봄으로 가벼운 해프닝은 정리가 되었지만, 실제로 그것을 실천에 옮긴 초딩적인 마인드의 사나이가 있다.

AJ 제입콥스라는 이 괴짜 사나이가 하고 많은 책 중에 백과사전을 그의 목표로 삼았던 이유는 오직 더 똑똑해지기 위함이었다. 왜 그런 행동을 하냐는 그의 주위의 많은 이들의 얄궂은 질문에 그는 장황하게 설명을 하곤 했지만 역시나 결론은 그의 지적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함이었음이 결론이었다.

한국어 판 제목인 ‘한권으로 읽는 브리태니커’으로 인해 마치 이 책이 백과사전을 압축이라도 해 놓은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가지는 자들이 있을 것 같아 미리 알려준다. 나 조차도 서점에서 이 책을 처음 발견하였을 땐 그저 백과사전 요약본 정도라고 여겼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그러나 실은 이건 브리태니커를 한자 한자 읽으면서 나오는 각각의 감상을 정리해 놓은 감상문의 모음집으로 보는 편이 맞다. 일정한 주제를 가지고 쓴 그의 일기라고나 할까. 그러니까 그로인해 나는 백과사전을 보고 쓴 감상문을 가지고 다시 감상문을 쓰는 그런 사람이 되어 버린 셈이다.
비록 브리태니커 사전 자체에 대한 설명은 아니라 하지만, 단어 하나하나 에 얽힌 작가의 생각을 엿보는 재미 못지않게 기대하던 새로운 지식에 대한 탐구를 엿보는 재미가 없지는 않다. 브래태니커의 맨 처음 시작이 우리나라와 관련된 단어인 것을 나도 덕분에 알수 있었으니 말이다. (정답은 각자가 찾아보도록..)

내가 가지고 있는 성경만큼 두꺼운 양장본이라 처음 대하였을 땐 ‘이걸 언제 다 읽나’지래겁을 먹었지만, 지은이의 재치있는 말솜씨에 어느 덧 두 번째 완독에 돌입했다.
UN의 정의에 의하면 책이란 49p이상 인쇄된 것이라고 하니 663p인 이 책을 다 읽는다는 건 대략 13권의 책을 완독했다는 의미일수도 있다.(이또한 이 책에서 배운 지식이다.) 물론 정의내리기 따라선 브리태니커 사전을 통째로 읽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건 본인이 판단할 몫이다.
‘스폰지’에서 나왔던 뜻밖의 사실들은 실은 백과사전에 이미 나와있었다는 사실도 책을 보는 도중에 알았었다. 그것도 모른채 나는 마치 텔레비전에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한 것 마냥 좋아했으니. 알고보니 그저 백과사전만 잘 섭렵해도 TV의 프로그램을 하나 제작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구글과 네이버라는 강력한 브래태니커의 경쟁자가 있는 까닭에 사람들은 더 이상 서가 장식용으로도 백과사전을 구입하진 않지만 실은 검증되지 않은 ‘사실’들이 ‘진실’인냥 떠돌아 다니고 있는 곳이 인터넷임을 알고 있다면 우린 당장이라도 백과사전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하다. 비록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홍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쏟아지는 지식 사회에서 백과사전이라는 도구가 가진 힘은 느리고 포괄하기에는 적당해 보이지 않을지 모르지만, 여전히 난 미래의 내 자식에게도 이 책을 권할 생각이다. 적어도 이 책에는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소모되는 쓰잘데 없는 연애기사는 없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