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문법적으로는 주어와 동사가 조화를 이룬다고 해서 모든 것이 말이 되는 것은 아니다. 때론 어울리지 않는 단어의 조화는 오히려 문법의 어긋남의 이상으로 이질감을 선사한다. 이 제목이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조사 ‘가’는 ‘와’로 변형이 된다거나, 아내라는 단어 앞에 ‘전(前)’이라는 간단한 수식어를 첨부함으로 가능하다.

제목으로 내용을 짐작컨대 무리하지 않은 상황 설정의 최대치는 그저 전처의 얘기가 아닐까 싶었다. 이미 이혼한 옛 부인이 새로운 남자를 만난다는 에피소드 정도라면 무난하지만 잘 만 쓰여진다면 감칠맛 나는 얘기가 될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책을 중반까지 읽어 내려가도록 분명 내용은 내 예상치를 맴돌았다. 자유분방한 여자와 어렵게 결혼까지 골인한 남자 주인공은 자신에 대한 여자의 사랑이 변하면 떠나겠다는 약속을 담보로 나름 행복한 신혼을 보낸다. 하지만 우리 선조들의 치밀한 데이터는 짐승에 빗대어 버릇은 남에게 무상으로 증여할 수 없다는 뜻을 내포한 속담을 만들어 내셨고 그러한 예상은 역시나 해당 여주인공에게도 이루어졌다. 중반에 이르러서 여자는 일 관계상 내려가 있던 지방에서 남편아닌 또 다른 남자를 사랑하고 있다는 충격어린 말을 한다.

그럼 그렇지. 뭐 다른 거 있겠어? 라는 내 안의 외침은 속으로 쾌재를 불렀다. ‘부라보’


하지만 이 여자의 행태는 단순히 남편 아닌 남자를 사랑한다는 뻔뻔함을 넘어서서 두 남자를 ‘결혼’이라는 태두리에 두겠다라는 실로 판타스틱한 계획을 설법한다.


제도라는 것이 분명 절대적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유지한다는 대명제는 이러한 현대 대한민국 사회 내에서의 ‘일처다부제’라는 절대적 관계에 대하여 망측한 도발을 ‘가능하다’라는 결론 도출로 설명한다.


남편이 있는 여자와 결혼하겠다는 남자와 두 남자를 남편으로 두겠다는 여자와, 그러한 미친짓을 알면서도 여자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감당하기로 한 또 다른 남자의 이 기가막힌 관계형성은 저자가 작정하고 준비한 현 결혼제도에 대한 도전적 지식으로 끊임없는 설득을 벌인다.


코미디 일 수밖에 없는 이 촌극을 무마시키려 세 명의 주인공은 결혼에 대한 일반 상식을 뛰어넘어 방대한 지식(知識)대전(大戰)을 벌이며 단지 방관자 이던 독자들을 싸움에 끌어들이기 위한 전투를 개시한다. (저자의 내적 갈등은 안봐도 훤하다.)


상식적으론 범법자란 제 3자에게 폭력이나 살인, 사기와 같은 여러 유형으로 다른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는 자들을 뜻하는 것으로 알지만, 단지 그 시기에 그 사회에 동의하지 않는 사상을 지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처벌을 받는 이들도 포함한다. 우리의 지난 과거(그리고 현재) 또한 ‘사상범’과 ‘정치범’이라는 명목으로 이러한 부류의 집단을 구속한 전력이 있어 누군가를 비난할 성질은 아니고 충분히 ‘특이한’사상은 합법적으로 범법자의 구성요건이 된다는 것이다.


그 어느 때부터 자유로워 보이는 이 대한민국에서 조차 우리의 생각은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용납당하지는 않는다. 결혼의 형태의 변형은 문화 상대적 관점에서 타국가와 타민족에게 대한 너그러운 마음에서나 가능한 거지 내 민족과 내 주위에서 언급하기엔 성스러운 영역이다. 부부가 헤어지는 그 단순한 이별행사에서도 터부를 자랑하는 우리 자랑스런 대한민국에선 정말 결혼제도는 그 무엇에도 비할 바 없는 성역이다. 바로 이 결혼이라는 것을 빗대어 바로 그런 자유를 언급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라며 궁리를 하면 나 또한 지나친 상상의 소유자일까.


시종일관 미친짓과 같은 이 부담스러운 행위들을 하나의 가벼운 쇼와 같이 흥겹게 만들어 버린건 그나마 정상인과 같은 1인칭 주인공의 언변과 더불어 기가 막히게 운용한 축구사의 도입이다.


책을 덮는 그 순간까지 내 손을 놓치 않게 만드는 이 책의 흡입력은 재치있는 주인공의 입담과 더불어 세 주인공의 유일한 공통분모인 ‘축구’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순전히 월드컵용 축구 관람가인 나로서도 화면이 아닌 인쇄자 속에 펼쳐진 축구사를 읽는 부가서비스 만으로도 재미는 증가세이다. 덕분에 어디가서 스페인 축구에 대해서 최소한 풍월을 읊을 수 있게 된 건 만으로도 재미와 더불어 ‘지식’을 더한 작가에게 고마움을 표시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결론으로 말할까?


문학상 수상이라는 타이틀이 이 책을 읽을까 망설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았으면 한다. 이 책의 어느 평론가의 고백처럼 한마디로 ‘경쾌하다.’ 시대를 바꿀만한 대작은 아니라 할지라도 좋은 소설을 읽는 기쁨과 재미는 충분히 만족할만한 가치로 남는다. 몇몇의 성애 표현은 심란하지 않을 만큼의 묘사였으며 몇 번을 말한 또 다른 제 4의 주인공 ‘축구’는 독자를 어느덧 ‘관중’으로 돌변 시킨다.

무엇이건 단점이 있게 마련이고 때론 의도적으로 그 부족한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허나 오늘은 그런날이 아니다. 오늘은 그저 재밌고 즐거운 책을 읽은 날로 기억에 남기고 싶은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