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처음 독서다운 독서를 시작하였던 것이 판타지, 무협소설 이였다. 모든 무협지를 다 읽었구나 하고 생각 했을 때 다른 책도 읽어볼까 하고 눈을 돌렸다. 이렇듯 독서는 항상 즐거워야 한다. 학교에서 시험 때문에 마지못해 억지로 읽는 것은 독서가 아니다. 책 읽기가 아니라는 것이 아니다. 즐거운 독서가 아닌 것이다. 즐기면 취미요 시켜서 억지로 하게 되면 일이 된다. 독서의 뒤에는 뿌듯함 행복감 만족함 등이 찾아온다.

 

 이 책의 저자는 어떻게 독서에 입문 할 것이며 어떻게 늘려 나갈 것 이며 유지할 것 인지에 대해 여러 다른 책들을 소개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사실 책을 읽다 보면 책 속에 책이 나온다. 그런 책들을 읽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좋아하는 작가가 책 속에서 권해주는 책은 거의 실패하는 확률이 적다. 이 책은 평소 내가 생각해온 독서의 마음가짐과 딱 들어맞았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수십권의 책을 다 읽기에는 역부족이다. (작가가 메인으로 추천한 책은 30권이지만 그 외의 책들도 다수 이야기로 다루고 있다.) 읽으면서 몇 권의 책을 노트에 적어 놓았다. 이렇듯 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책은 앞으로 무엇을 읽어야 할지 도서선정에 큰 도움을 준다.

 

 처음 독서에 입문을 하는 것은 분명히 관심이 있고 즐거운 책이여야한다. 그리고 나서는 그 작가의 책을 읽어야 한다. 저자는 작가의 다른 책을 읽으라고 했는데 저자의 의도와 나의 생각은 조금 차이가 있다. 바로 다른 책을 읽기보다는 같은 저자의 비슷한 부류의 책을 두루 섭렵한 다음에 읽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사실 본인도 요시모토 바나나, 파울로 코엘료, 베르나르 베르베르등의 저자는 다 읽었다. 그리곤 같은 테마로 옮겨단다. 그 후 옮겨지는 방향이 같은 번역자이다. 일본 소설을 좋아해서 담담한 문체에 빠져 있을 때쯤 눈에 들어온 번역자가 ‘김난주’였다. 대체적으로 그 분이 번역한 것이 내 입맛을 잘 아시더란 말이다. 그리고 그 후 같은 ‘이즘’ 류의 책을 읽는다. 등등 왠지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자신이 목차만 나열 하는 것 같아 이 이야기는 이쯤에서 그만 하도록 하겠다. 크게 소제목에서 벗어나는 책이 아니다. 독서를 함에 있어서 “아 난 책이 너무 어려워서 싫어”라고 말하는 것은 없어야 한다.

 

『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의 <나는 누구인가>를 다음 책으로 골랐다. 좋은 책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서점 사이트들에서 이 책에 대한 회원 리뷰가 그리 많이 달리지 않은 것을 봐서도, 그다지 만만한 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살아있는 동안 꼭 생각해야 할 34가지 질문을 던지고 있는 이 책은 철학용어가 난무하고, 수많은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이 소개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철학서’라기보다는 ‘철학적인 책’이니 지나치게 겁먹을 필요는 없다.』-p.85

 

 이렇듯 책은 교과서가 아니다. 그냥 저자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주변 누군가가 놀러 갔다 왔다고 하면 그 이야기가 궁금할 것이다. 어떻게, 무슨 일이 있었냐 등 그것이 기행문이다. 그런 이야기를 글로 쓴 것이다. 이렇듯 책에는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음미하면서 읽어야 한다. 또는 어떤 책은 저자가 왜 썼는지 무엇을 위해 이 책을 썼는지를 알기 어려울 때가 있다. 연애를 할 때 상대가 베일에 많이 가려져 있을수록 알고 싶어지는 것 아닌가. 그리고 그 사람에 대해 점점 알아갔을 때 그리고 그 사람을 절반이상 알았을 때 왠지 모를 정복감을 준다. 그 때의 성취감은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런 성취감을 주는 것 중에 대부분이 고전 소설에 있다.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1835~1910)은 “사람들이 칭찬을 늘어놓으면서도 막상 릭지 않은 책”이라고, 프랑스의 작가 아나톨 프랑스(1884~1924)도 “누구나 그 가치를 인정하는 책이지만 누구도 읽지 않는 책”이라고 고전의 정의를 내린 바 있다. 이들의 정의가 무슨 의미인지는 고전을 읽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재미도 없고 난해하며 두껍기는 왜 그리 두꺼운지, 고전을 접하는 일은 차라리 ‘고통’에 가깝다.』-p.159

 

 고생 끝에 낙이 온다.

 

 독서는 저자와의 대면이다. 그 작가에 관해 알게 되고 나름대로의 작가를 그 책의 성격을 파악하게 된다. 그냥 길가다가 마주친 잘 생긴 남자의 삶을 알게 되는 것이다. 그 남자의 삶을 알게 되었으니 친근감이 느껴질 것이다. 독서도 그러하다. 작가를 알고 난 뒤의 독서는 더욱 책에 빠져 들게 만든다.

 

 당신은 책과 사랑에 빠질 준비가 되어 있는가.

 

 이 책에서는 책을 선정하여 추천함과 동시에 독서의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책이 넘쳐나는 요즘 이런 책 한권 구입하여 읽어 보는 것도 앞으로 독서방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