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살려 써야 할 우리말 사전
고정욱 지음 / 자유로운상상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말, 말,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 중 꽤나 많은 말들이 외래어로 채워져 있다. 순화되어야할 일본말 중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다마'나 '다꽝'등은 알고 있었는데 '우동'이라든지 '오뎅'같은 말은 고유명사로 인정해줘야 하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억지로 끼워맞추는 느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사람이 사용하면 그것도 표준어로 인정될 수 있다고 했다. 보기 안좋은 말은 피해야 하겠지만 인정할 것은 인정해주자. 어려운 말들은 갈수록 잊혀져가고 있다. 나조차도 이 책을 읽으면서 입을 딱 다물지 못했다. 다물고 나서는 다시 쩌억하고 입이 벌려지는 까닭은 이렇게 많은 모르는 말이 있었다니..이거 정말 한국사람도 한국말 사용하기가 이렇게 어려운데 어떻게 외국인에게 사용해주기를 바라겠는가. 처음듣는 말들로 채워진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기에는 지루하고 시간도 만만치 않게 걸릴것 같다. 읽어서 실상 활용하기전에 잊어버릴것 같다. 그래서 조금씩 아껴서 두고 두고 한장씩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북한에서 사용하는 말 중 우리가 다시 살려서 써야할 말들이 참 많이 있었다. 북한언어가 처음에는 웃기고 재미있더니 그런관심을 가지고 잘 읽어보니 아름다운 말이 많이 있었다. 쓰고 싶은 고운말들이 많았다. 넓은바다를 '호호바다'라고 한다. 하하호호바다 좋은 말 같은데 왜 사용하지 않을까? 나부터 사용해야겠다.

 

 아름다운 말 고운말이 아름다운 입술에 머물수 있게 해주어야겠다.

 

 말이 나온김에 한마디만 더 늘어놓자면..요즘 청소년들의 잘못된 언어사용에 관한 말이다. 어릴때는 잘 모르고 썼던 인터넷용어들이 나이가 조금 들고나서 보니 전혀 아름답지도 않고 오히려 어른들이 듣기에는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우리들만의 은어가 남들이 모르는 비밀스러운 은어가 사용할때는 좋을지 몰라도 자꾸 그런말을 사용하다보면 본래의 우리국어는 사라져버리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이것은 몸소 실천한 경험에서 하고싶은 말이다. 나조차도 '방가방가'등의 인터넷용어를 즐겨사용했었다. 친구들이 내 문자메시지를 해석해야 할 정도로 왜곡되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것을 지금에 와서는 후회한다. 그때는 그냥 그러고 싶었나 보다. 어떠한 심리에서 그렇게 했는지 말로는 설명할 수 없지만 어찌되었든 지금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더 사랑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싶다. 얼마든지 아름다운 말이 많이 있다. 그런것을 찾는 것이야 말로 들판에 핀 아름다운 꽃을 발견하는 것에 비유하겠는가.

 

 이런 즐거움을 요즘 청소년들이 알아줬으면..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