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로콩밭에서 붙잡아서 - 제10회 소설 스바루 신인상 수상작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15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의 제목은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의 제목을 패러디 한 것이라고 한다. 샐린저의 책이 일본에서는 '호밀밭에서 붙잡아서'라는 타이틀로 번역이 되었기때문에 이 책의 제목이 '오로로콩밭에서 붙잡아서'가 된 것이다.

 

 유머소설이라고 해서 우울한 일상에서 한바탕 웃어볼까 하고 읽어보기 시작했다. 300명남짓한 농촌마을을 살리기 위해서 청년회장 신이치가 거짓소문을 만들기 시작한다. 재미,웃음 글쎄 잘 모르겠다. 단지 거슬리는 것은 어색한 사투리이다. 일본소설을 많이 읽었지만 일본소설의 번역때문에 어쩔수 없겠지만 하면서 넘어갔던 적이 많았다. 사투리..읽는데 자꾸 눈에 거슬려서 좀 짜증이 일었다.

 

 오로로콩이라는 콩을 먹고 사는 우시아나 마을 어느것 하나 내새울 것이 없어서 고대의 공룡을 출현시키는 악의없는 거짓소동을 만든다. 효과는 만점이다. 매스컴등 소문이 쫘악 퍼지면서 마을은 금새 유명해진다.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우리마을도 소도시라 마을은 점점 노인인구만 늘어나고..만약 내가 마을을 일으켜 세우고자 하면 어떤일을 해야할까?하고..

 

 정말 힘든것 같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거짓으로 공룡을 출현시키진 않을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왔듯 결혼으로 유능한 인재를 끌어들이는 것은 괜찮은 것 같다. 하지만 요즘 누가 농촌으로 시집오려고 하나..다들 넓은 곳으로 가고싶어 늙은 부모들도 내팽겨 쳐놓고 가는 마당에..참 소재가 아픈 소재인것같다. 지금 이시대의 문제점을 웃음거리로 만들자니..마음이 아프다.

 

 "오로로콩이라면.."

 "오로로콩은 오로로콩이여."-p.115


 

 소설은 그냥 소설일 뿐이다. 그냥 그렇게 생각하고 넘어가야할 것 같다. 큰 웃음은 없지만 그냥 소소하게 넘기는 웃음은 자잘하게 많은 작품이다. 블랙유머가 아니라서 그냥 생각 없이 웃고 싶을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소설이라고 해야 적당한 것같다. 우리 자신은 국가나 마을에게 무엇을 바라기만 하는 것은 아닌지, 국가나 마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정도는 생각해 보아도 괜찮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