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뒷면에는 '모나리자'와 '진주 귀고리 소녀' 보다 더 매혹적인 '미인도'라고 되어 있다. 사실 그림을 잘 볼지 몰라서 그런건지 난 한번도 '모나리자'가 이쁘거나 매혹적이라 생각해 본 적 없다. '진주 귀고리 소녀'는 그냥 말 그대로 소녀 라고 표현할 정도로  순수함이 있을 뿐 이라 생각했다. 그것을 '미인도'와 비교하다니 동양과 서양의 비교 자체가 안된다 라고 생각했다.
 소설<진주 귀고리 소녀>와 비슷한 점은 그림에 관하여 그것을 전제로 상상의 나래를 펼쳤다는 것이고 다른 점은 전개방식이나 그림을 다루는 데 있어서 전혀 다르다. 사실 <바람의 화원>은 그림을 중간에 넣기 위해서 이야기를 마구잡이로 넣은 듯한 느낌이 있었다. 역사를 다루는 소설을 좋아하긴 하지만 좀 실망했다고 할까..

 두 천재화가는 처음의 이야기와 마지막의 에필로그에서 보듯이 사랑이 물씬 풍겨나온다. 러브스토리인 것인가 읽다보면 또 그것도 아니다. 그냥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싶었다는 윤복..

 "형태가 아니라 혼을, 모양이 아니라 내면을, 양식이 아니라 마음으로 그리고 싶습니다."

 정말 원하는 것은 그것 인데 사람들은 천재에게 천재성을 보여 달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틀에 맞춰 그리라는 것이다. 항상 천재들은 그렇듯이 틀을 깨어버린다. 윤복 또한 그런 것이다.

 둘의 그림 대결이 볼 만했다. 천재들의 대결이란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마냥 어떻게 저렇게 생각할 수 있지 하며 어떻게 저럴수가 있을까?하며 신기하기만 하다..

 이 책을 계기로 사람들이 우리나라 그림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서양화가 판을 치고 있으니 우리나라 그림이 죽어가는 느낌이 드는 요즘이다. 우리의 '미인도'가 세계 곳곳으로 뻗어 나가는 그날을 기다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