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 전달자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미래의 이야기 일 수 있는 이 소설은 읽는 내내 정말 점점 세상이 이렇게 변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해마다 12월이 되면 그 해에 태어난 아기들은 한살을 맞이 한다. 그리고 각 가정에 배정 받는다.
해마다 한살을 맞이하는 아기들은 쉰명으로 정해져있고 매년 12월기념식때면 한살이 더해진다. 아홉살 기념식때는 자전거를 받는다 그 이전에 자전거를 타서는 규칙에 어긋난 행동이다. 열두살 기념식이 되면 직업을 배정받는다. 그 임무를 하면서 나이가 들면 기초가정을 이룰 수 있는데 부인을 신청해서 서로의 성격이나 모든 것들이 맞는다고 생각하면 원로에서 허락을 해준다.
이처럼 사소한 것 하나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마을이 아니다. 모든 것이 규칙에 정해져 있으며 사람들은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열한살의 조나단은 열두살 기념식에는 어떤 직업을 받을지 궁금해했다.
이 마을에는 기억보유자가 한명있다. 그 기억보유자가 노쇠해서 후계자를 뽑게 되는데 조나단이 그 후계자로 지명된다. 기억보유자란 지금껏 지구에 있었던 기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뜻한다.
다른 마을 사람들은 계절이 통제되어 있기때문에 눈도 모르고 비도 모르고 햇빛을 차단했기 때문에 색도 모른다. 하지만 조나단은 기억보유자가 자신에게 기억을 전달해주기 시작하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과 다른 세상을 알게 된다.
사랑이라는 감정도 알게 되고 전쟁 기아 모든 것을 알게 됨에 따라 모든 사람도 이런것들을 알고살면 좋을텐데 하고 생각을 한다. 그래서 그렇게 만들어주기 위해 도망을 결심한다.』
기억마저도 통제 받으면서 성적충동도 일어나지 못하게 매일 아침 알약을 하나씩 먹어야 한다. 모든 사람은 의문을 품지 않는다. 자신들은 안전하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그리고 그것에 대한 갈망도 없기때문에..
원시시대에는 모든 것을 마음대로 하면서 살았다 학교를 가야한다는 것도 없었고 규칙이 없었기 때문에 법을 어기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없었다. 점차 사람들은 당연히 그렇게 해야한다고 교육받아 왔고 규칙이 있기때문에 삶이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규칙과 법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모여살면서 부락을 이루면서 부터 시작 되어왔다. 사람들이 많아져서 무질서 해서 생기는 문제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가끔 나도 인간을 위한 법인가 법을 위한 인간인가 헷갈렸을때가 많았다. 사람을 위해서 만들어진 법이라는 것이 그것때문에 다치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것에 얽매여 무모하게 죽어간 사람도 생기면서 부터 그런 의문이 들었던 것 같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큰 문제도 그런것을 담고 있다. 그 밖에도 산아제한 정책, 안락사등 윤리적문제 까지도 등장한다. 책 속에서 쉰명의 아이들이 한살을 맞이 한다고 한다. 조나단이 열한살인 해에는 쌍둥이가 태어나서 한명이 임무해제 당해야 한다. 임무해제란 죽음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임무해제 한다고 하면서 살인을 저지르는 것이다. 하지만 윤리적으로 그런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살인이란 단어는 알지 못한다. 조나단은 그 장면을 눈으로 보게 되고 임무해제의 진실을 알게 된다.
모두 똑같은 얼굴색을 하고 똑같은 머리스타일을 하고 있다. 흑인과 백인 황인 얼굴색이 다른 사람이란 없다 색이 없기때문에.
우리는 인종차별이라는 것을 보고자라왔다. 그것이 없어지는 것은 얼굴색을 똑같이 만들자는 것이 아니다. 각자의 인격을 존중해 주듯이 각자의 문화를 존중해 달라는 것이다. 모두 일원화된 극단적인 사회를 보면서 '이것은 아닌데..'라고 생각했다. 아직 윤리가 있고 도덕이 존재하는 한 이런 일은 없을 것 같다. 흥미로운 내용의 소설이지만 담고 있는 문제는 흥미하나로 넘어가기에는 좀 크다.
오랫만에 책을 덮고 생각을 하는 시간이 길었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