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와 함께한 그해
아르토 파실린나 지음, 박광자 옮김 / 솔출판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누구나 항상 일탈을 꿈꾼다. 이 작품을 자신의 차로 토끼에게 부상을 입히면서 부터 일탈이 시작되었다. 어떻게 보면 보잘 것 없는 미물이지만 바타넨에게는 일탈을 만들어준 중요한 생물이다. 그리고 그것마저 없어져 버린다면 일탈의 계기를 잃어버리게 되고 그 일탈을 중지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토끼에게 집착하게 된다.
 그러면 왜 작가는 많고 많은 동,식물중 토끼인 것인가? 데리고 이동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와 돌발성 행동 그리고 예민한 성격등이 딱 맞아 떨어진다. 코끼리를 데리고 움직일 수 있을 것인가? 메뚜기가 물잔을 뒤엎는 등의 사고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인가?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토끼보다 적절한 동물은 없는 것 같았다. 나 역시 작가라도 토끼를 이용했을 것이다.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숲속으로 전진해 나아간다. 사건 사고들이 일어나는 그 자리에는 토끼가 주범이다. 바타넨도 그것을 원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토끼는 생각한다. 그리고 회심의 미소를 지어보낸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은 스웨덴 무관 부인이 토끼를 자신과 생사를 같이 했다며 토끼를 원했지만 바타넨은 토끼를 주지 않았다. 곧이은 파티에서 토끼가 난동을 부려 엉망이 되자 토끼를 벌레 취급하게 된다. 인간의 양면성의 극치이다. 누구든지 일관성있게 생활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목숨보다 더 중요하다고 원하던 토끼가 사고를 저지르자 만지기 싫어질 정도로 태도가 급변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혀 어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숲을 사랑하고 동물을 좋아하는 사람집에 놓여진 사슴박제가 떠올랐다. 그것이 진정 사람의 모습인 것이다.

 토끼와 함께한 그 해가 지나갈 무렵 바타넨에게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죄들이 짊어져 있었다. 그 죄들은 무엇을 위한 잣대이며 누구를 위한 죄란 말인가. 어이가 없고 분노가 치밀었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모든것 하염없이 사라지니 지나가버린 것은 그리움뿐"

 바타넨에게도 토끼와 함께한 그 해가 그냥 그리움으로 남아버린 것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