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명의 가부장이 있다. 

한 명은 온동네 땅이 다 자기네 땅인 지주집안의 치과의사고,

밖에서는 신사지만 부인과 딸은 매로 교정하는 소시오패스다.

다른 한명은 없는 집안의 운동선수 출신으로 보안업체 팀장이고

아버지의 폭력에 대한 트라우마에 시달려서 아들을 세상 둘도 없이 소중히 아끼는 

사랑 넘치는 아버지다.


자신만만하고 야비한 소시오패스와 소심하고 정많은 유약한 가장은

그러나 자식의 안위와 복수를 놓고는 똑같은 선택을 한다.

내 자식은 금쪽같고 자신은 그것을 지킬 의무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 혹은 자식을 잃은 복수를 위해 백명도 죽일 수 있는 사람들.

이걸 부성애라고 할 수 있을까?


둘의 인성과 사고방식이 판이하게 달라도 결국 선택이 같다면

그 둘은 정말 다른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까?

가족중심주의, 더 세부적으로는 가부장이 다른 가족 구성원을

자기의 소유이자 자기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더 나아가서 내 가족을 지키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다른 누군가를 해치는 것 조차도)는 생각은

개인의 기질적 특성을 뛰어넘어 우리 모두를 폭력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닐까


후반부를 읽는 내내 불편했다.

나라도 이런 선택을 할 수 있으니까

생각하게 만드는 불편한 책이다.

우리 안의 모순과 야만을 확실히 보게하면서

장르적인 쾌감을 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누구에게든 일독을 권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시~ 타란티노!!

피와 뇌수가 팍팍 튀고, 밑도 끝도 없는 총질에

정신없이 떠드는 사람들.

10살때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읽고 가슴이 싸한 느낌이들어

잠을 못잤던 기억이 난다.

희안할 정도로 마지막 문장이 잊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지금도 아가사 크리스티의 최고작은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라고 생각한다.

영화는 그보다는 따뜻하다. 최소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서진 사월
이스마일 카다레 지음, 유정희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설정이라고 생각했다.

사적 복수가 허용돼다니. 모든 문명사회에서 마땅히 금지하는게 아닌가.

혹시나 해서 검색을 했는데 뉴스가 있다.

공산주의 시대에 금지됐다 다시 성행하는 카눈이란 관습법이 정말 있단다.

이야기가 정말 단순하고, 내용도 긴 편이 아닌데

그래서 혼란스럽다.

진짜 이런게 있어? 복수가 허용돼는건 물론 복수를 하면 세금도 내야 한다니;;

믿기엔 내 스스로 너무 어리숙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만큼 

판타지 설정 급의 환상적인 이야기다.

그래, 그 지역엔 그 이상으로 엄청난 일들이 많이 있었으니까.

소설 전체의 음울하고도 비현실적인 분위기는 너무 좋았다.

그조르그가 복수를 하고 세금을 내러

성으로 가는 동안의 답답하고 막막한 풍경과 

성에 도착해서 세금을 내려 기다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같이 기다리는 장면이 오래 남는다.

탁할 정도로 안개가 낀 아침을 연상시키는 막막함, 곧 복수를 당해 죽을 살인자들이

옹기종기 모여 세금을 내기 위해 기다리는 어둡고 꿉꿉한 광경이라니.

살인이라는 말이 연상시키는 광기, 일탈, 폭력같은 단어와 세금이 연상시키는 

권위, 돈, 사회체계 같은 말들의 부조화가 이 소설의 가장 큰 매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년 후 나에게 - Q&A a day
포터 스타일 지음, 정지현 옮김 / 토네이도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족들에게 연초 선물로 주고 싶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코맥 매카시 지음, 임재서 옮김 / 사피엔스21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영화에서 부보안관을 죽인 안톤시거가

 

길 가던 운전자를 세우고 커다란 산소탱크를 끌고 다가간다

 

대체 저 산소탱크가 뭔지 운전자도 모르고 영화를 보는 사람도 모르기 때문에

 

그 뭔지 모르는 걸 이마 사이에 대고 갑자기 머리에 구멍을 냈을때

 

어안이 벙벙했던 기억이 난다.

 

엄청나게 잘 만든 영화였지만 책을 보니 책과 똑같이 만든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