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 홈즈 Miss 모리어티
헤더 W. 페티 지음, 박효정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셜록이 손을 내밀어 내 손을 잡을 때쯤에 나는 한숨을 쉬고는 도대체 내 손에 뭐 그렇게 겁날 정도로 매력적인 점이 있는지 막 물으려던 차였다.

 

그는 즉시 침착해졌는데, 그리고 놀랍게도 나 역시 마음속 긴장이 완화되는 것을 느꼈다. 나는 살짝 미소까지 지었다.

 

셜록의 태도에는 지독하게 사랑스러운 뭔가가 있었다. 그 애가 날 짜증나게 만들 때조차도.

 

 

 

 

 

 

소녀 제임스 모리어티를 이해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어머니였다. 세상 사람들은 경위 마누라, 모리어티 부인으로 불렀을지 모르지만. 그리고 어머니는 병으로 가족의 곁을 떠났다. 아버지는 야수로 돌변했고 <메모리즈 오브 유>를 들으며 어린 자식들을 학대했다. 모리어티는 도망치고 싶지만 갈 곳은 없었고, 지켜야 할 동생은 아래로 셋이나 있다. 매번 연기와 화재를 동반하는 실패자 친구와 화학 실험하는 학교생활도 지긋지긋하다. 실패를 넘어 화재를 일으키는 대형사고가 터지자 선생님은 그녀에게 지하 연구실에 있는 셜록이란 남학생과 대피해달라고 부탁한다. 학교에서 제일 괴짜로 소문난 녀석. 혼자 독차지하고 있는 연구실. 솔직히 조금은 그 녀석의 연구실이 궁금했다. 그것이 제임스 모리어티 양과 셜록 홈즈와의 만남이었다.

 

 

둘은 리젠트 공원에서 벌어지는 연쇄 살인사건의 시체에 이상한 점이 있음에도 경찰이 단순 사고사로 넘어가는 걸 보고 독자적으로 수사를 감행한다. 모리어티는 뭐든지 다 안다고 믿는 셜록이 재수없고, 셜록은 자신의 당위성을 인정하지 않는 모리어티에게 짜증이 나면서도 설렘과 호기심을 품고 있다. 미운 정도 정이라고, 사건이 진행될수록 둘은 점점 더 가까워지고 결국 선을 넘어 연인관계로 발전한다.

 

 

<mr. 홈즈 miss 모리어티>는 백 년이 넘도록 숙적이었던 아서 코난도일의 <셜록 홈즈>에 나오는 두 인물을 가지고 가상의 청춘로맨스물로 변신한 작품이다. 흥미로운 건 작가가 모리어티라는 인물을 아주 심도있게 이해하고 원작의 모리어티와는 전혀 다르면서도 여전히 원작의 인물과의 연관성을 버리지 않는 아슬아슬한 설정을 유지했다는 점이다. 작중 모리어티는 연쇄살인마가 자신의 아버지란 사실을 알게 된다. 그녀는 아버지가 살인마라는 걸 밝히는 걸 망설인다. 아버지가 겉으론 차가워도 속으론 가족을 생각하는 따스한 가장이라서? 아니면 섣불리 건드렸다가 도리어 해쳐질까봐? 이 이유에 대해서 작가는 원작 모리어티의 인생의 당위성으로 연관되어 설명한다. 그 연계과정이 '고작' 청춘로맨스물에 쓰여도 좋은건가 싶을 정도로 논리적이었다.작가가 모리어티란 인물을 얼마나 애정하는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다만 셜록이라는 인물은 원래 설명충(…)인데 명석한 두뇌를 가지고 있다는 것 말고는 원작의 셜록을 떠올릴만한 그 무엇도 없다는 게 아쉬웠다. 그게 또 다른 주인공인 모리어티를 이중삼중으로 더 복잡하고 매력적인 캐릭터로 만드는 데 일조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작품 자체가 추리에 초점이 맞춰진 게 아니라 모리어티라는 주인공의 로맨스에 좀 더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지나치게 셜록에게 집착하지 않았다. 사건과 행복이 너무 어이없이 풀린 점이 있지만 은근히 사랑스럽고, 달달한 10대 로맨스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래서 더 빛나보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었다. 꽁냥대는 스케일이 서양 애들이라 그런지 풋풋함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었지만 그래도 달달함은 찐하게 남은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