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거, 중국의 시험지옥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전혜선 옮김 / 역사비평사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500대 1. 5000대 1.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열정들이 매년 수치로 기록된다. 성공하고자 하는 간절함은 숫자보다 더 거대하리라. 합격과 낙방. 죽을 만치 힘든 터널의 끝을 보냐 안 보냐의 차이같다. 어떤 이는 터널 끝에 쭉 뻗은 길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이는 터널이 결국 끝나지 않는 동굴이었다는 걸 알게 될 것이고. 이 터널이 무엇인가. 1400여년 간 지속되어 온 지옥, '과거'이다.
미야자키 이치사다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이 글을 완성지었다고 한다. 징병 통지서가 오면 언제든지 죽을 각오를 한다는 마음으로 적었단다. 세상에 뭔가 이로울 만한 것을 남기고 죽어야 겠다는 각오였다. 생각해보면 이상하다. 지난 날의 시험 기록이 오늘날 우리에게 무슨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나. 그가 말했다시피 중국의 캐캐묵은 제도를 캔다고 해서 일본의 시험제도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하지만 시험 지옥 '과거'는 우리에게 객관적 지표 이상의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 죽을만큼 무언가에 매달려 얻어내야 했던 성공의 의지, 가족을 부양해야 했던 옛 선인의 부담감, 죄를 짓고 살면 아무리 천운을 타고 났어도 삶의 중요한 타이밍에서 실수할 수 있다는 오랜 지혜같은 말들은 우리들에게 난(難)이라는 공통적인 키워드로 공감을 이끌어낸다. 취업난, 입시난, 창업난. 난으로 넘쳐나는 세상에 우리도 살고 있다!
손바닥보다 더 작은 컨닝책, 빼곡히 글이 적힌 버선도 모자라 혹시 만두 안에도 쪽지를 넣어놨을까 식사하는 도시락의 만두까지 쪼개 만두소를 조사하는 웃기지도 않은 일이 벌어진다. 엄중한 감시를 통해 보내도 매년 숨겨서 들어가는 책의 분량은 책방 하나의 분량이다. 어떻게든 시험에 붙어 꽃길 좀 걸어보겠다는 당찬 의지가 느껴진다. 아아, 능력이 안돼 슬픈 짐승이여.
그런데 이 시험장에선 웃기지도 않은 일들이 벌어진다. 과거 시험은 자신의 재능과 지식만을 시험하지 않는다. 평소 쌓아온 덕과 인품까지도 시험의 대상이 되는 곳이다. 고대 중국인들에게 시험장은 귀신이 자유롭게 출입하여 인성을 시험하는 곳이라고 믿기도 했다. 그런데 이 인성 시험은 오늘날 연예인의 이미지 메이킹보다 더 무섭다. 네티즌은 모르는 게 있는데 귀신은 모르는 게 없는 탓이다. 고향에서 아랫도리 잘못 놀려서 처녀 신세 망친 놈은 반드시 죽는다. 붓을 잡아도 죽고 잠들어도 죽고 답을 적어도 죽는다. 무조건 죽는다. 어느 드라마에서나 나올 법한 섬뜩한 대사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고 한다. 오호 깨소금이다. 오늘날에도 적용되었으면 참된 공무원들이 많이 배출되었지 않을까하는 일말의 기대마저 생긴다. 짝짝.
동아줄은 하나고, 사람은 천 명이다. 살기 힘들어질수록, 밥그릇 수가 적어질수록 사람은 각박해지고 더 치열해지기 마련이다. 과거는 사람들의 과열된 경쟁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지표였다. 그 날의 그들이 소나 돼지가 잘 것 같은 우리 속에 쳐박혀 시험을 치뤘듯, 오늘날의 우리도 닭장 만큼 작은 독서실에서 합격이라는 목표 하나만으로 달리고 있는 중이다. 이것은 중국만의 역사는 아니다. 또한 멍청한 역사를 반복하고 있는 현 시점을 논하자는 의미로 보자는 것도 아니다. 여전히 삶은 변치않게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같은 길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딱한 처지일지라도, 그것이 내 삶의 유일한 길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 사람들이 수천, 수만명이 모이는 자리가 바로 과거시험장이다. 온기 대신 눈물 열 방울, 땀 스무 방울로 만들었을 그 자리에 대해 궁금하다면 중국역사를 담은 <과거, 중국의 시험지옥>을 읽어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