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 - 운명을 바꾸는 "한번 하기"의 힘
김민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위즈덤이 확실히 미쳤다. 아니면 위즈덤 관계자가 안목을 라식한 걸지도. 요즘 위즈덤에서 나오는 책 퀄리티가 너무 좋아져서 도대체 뭘 한건가 싶다. 질린다고 걷어 찬 옛 애인이 몇 년 후 벤츠타고 돌아왔을 때의 충격을 고스란히 느끼고 있다. 위즈덤 관계자는 책 기획자에게 월급 올려주고 상냥하게 대해주길 바란다. 그래야 나도 위즈덤을 오래 예뻐하고 사랑하지.

 

 

<나는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의 저자 김민태 씨는 EBS프로듀서로 활동중이다. 그가 제작에 참여한 <EBS 스페셜>과 <다큐프라임>은 내가 유일하게 EBS를 시청하는 이유다. 저자의 역력을 보고 어찌나 반갑던지. 내 스타일의 책을 만났구나 기뻤는데 거기다 내가 좋아하는 프로를 맡은 사람이라니. 행운도 이런 행운이 있을까. 게다가 그는 요즘 내가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을 속 시원하게 풀어주었다. 와.

 

 

누구든 성공하고 싶어 한다. 21세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리고 그 최정점에 이제 막 사회를 나가는 20대 초중반의 젊은이들이 있다. 농담조로 예수가 태어난 이래로 가장 많은 노력과 재능을 불태우는 세대들로 불리는 이들의 출격을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다. 그들 스스로도 자신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거란 강한 기대를 품고 있었고, 실제로 세상을 변화시키길 바랬다. 그러나 결과물이 영 신통찮았다. 그들은 세상을 바꾸기는 커녕 세상에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일조차 받지 못했다. 실업률은 점점 높아져갔고 원하는 일터가 아니라 일을 잡는 것에 목표를 가지고 신랄하게 움직여야 했다. 나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는 있는데 정작 원하는 곳이 없다니. 절망스럽다.

 

 

왜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없을까? 란 질문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스스로 묻고 답했다. 그 질문에 해답은 엉뚱한 데서 터져나왔다. 노오력이 부족하다는 권력자들의 헛소리 말이다. 노력, 노력, 노력. 노력에 지친 사람들에게 또 노력하란다. 노력해도 답이 안 나오는 것은 부족해서란다. 얼마나 더 채워야 하는 건데! 볼멘 소리가 안 나오는 게 이상하다. 노력으로도 세상에 안 되는 게 있다라는 결론까지 가서 모든 걸 놓아버리는 사람들이 발생할 정도로 파장은 컸다. 고작 두 글자가 세대 간의 갈등을 만들고, 불만을 야기시키고, 폭동을 벌이게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 김민태 프로듀서가 하고 싶은 말도 노력이 부족해서라고 말하고 싶은 걸까? 그런 말도 안되는 상상을 하기 전에 책을 읽어서 다행이었다. 2014년 1월 2일. 그는 한 정거장을 일찍 내려 15분 간 걸어서 회사에 도착했다. 새해에 있을 법한 작은 충동은 이후 그의 인생을 뒤바꿔놓았다. 그는 오늘날의 자신을 만든 것은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 로또가 아니라 수많은 점으로 연결된 인생의 작은 시도였다고 말한다.

 

 

평범한 인생을 변화시킨 '작고 가벼운 실천'이 어떻게 삶을 바꾸어나갔는지 아주 친절히 설명해준다. 목표가 없다고, 노력이 부족하다고 소리치는 못되먹은 어른들 사이에서 그는 인생의 변화는 완벽한 계획에서 오는 게 아니라 '한번 하는 것', 즉 사소한 행동에 있다고 주장한다.

 

 

한 번의 작은 용기, 한 걸음의 노력, 진심 어린 태도... 이러한 것이 없다면 어느 날 갑자기 오는 행운도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의 여러 사례들을 읽으면서 나는 해봤자 소용없을 것이라고 해서 지레짐작으로 포기했던 수많은 사소한 행위들을 다시 돌아보았다. 정말 떨어질 거라 확신했던 삶들이 흔들리고 있었다.

 

 

나의 경험 속에서 하지 못한 일들을 떠올려보았다. 당연히 공모전이었다. 나는 해리포터의 조앤롤링마냥 화려한 데뷔를 하고 싶었다.(참 꿈도 야무지다) 그래서 아무데나 넣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누구나 감탄할 만한 작품을 써서 내야 해. 나는 강박관념에 젖어 있었다. 강박관념에 너무 젖어버린 나머지 나중에는 글 한 구절도 함부로 써서는 안되는 것처럼 여겨졌다. 십년도 넘는 세월동안 꿈꿔 온 내 삶이 정말 내게 맞는 삶인가 알 수 없게 되어버렸다. 나는 이 길로는 성공은 커녕 할 수도 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당장 뚜렷한 목표가 없으니 어딜가서는 계속 그 쪽을 꿈꾼다고 말을 하곤 했다. 이 나이 먹고 꿈이 없다는 말을 했을 때 받을 시선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나는 어느새 겁쟁이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 사소한 것으로부터 위대한 경험이 시작된다면, 나는 내가 아직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빌게이츠처럼 머리 뛰어난 동창생을 만난 적도 없고,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에 나오는 아나스타샤마냥 친구 대신 재벌 CEO를 인터뷰하면서 사랑에 빠질 가능성은 전무하지만. 그래도 내 인생에 한번쯤은 소설 속에서나 나올 법한 사소한 행위들로 커다란 사건을 벌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게 되었다. 터무니없는 것 말고, 진짜 제대로 된 나를 위한 성공의 지름길이 되어줄 행위들 말이다.

 

 

아직도 220페이지밖에 되지 않는 이 노란 책에 흠뻑 빠져 있다는 게 믿어지질 않는다. 나는 <나는 고작 한번 해봤을 뿐이다>를 주변인들에게 미친듯이 소개시켜 주고 있다. 내 얼굴을 봐서 제발 읽으라고. 도서관을 이용하겠다고 해도 말리지는 않겠지만 이건 질러야해! 집에 굴러다니는 문화상품권은 뒀다 어디 쓸거야? 이럴 때 써! 라고 닦달하는 중이다.

 

 

꿈을 이루고자 하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이여(나를 포함한). 완전 강력 추천한다. 2016년 들어와서 이렇게 길게 써 본 리뷰가 없다. 이 간절한 마음이 읽혀지시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