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욕 미스터리 ㅣ 스토리콜렉터 39
리 차일드 외 지음, 메리 히긴스 클라크 엮음, 박미영 외 옮김 / 북로드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약 천만 명이 사는 뉴욕. 그 곳도 사람사는 동네긴 하지. 그래서 전혀 무섭거나 두렵다는 느낌은 든 적이 없었다. 그러나 <뉴욕 미스터리>를 읽은 후로 나는 이 천연덕스러운 도시가 두려워졌다. 공원 벤치에서도 책을 읽지 못하는 동네다. 예전 살인사건에 관해 동시대를 살았다면 가족도 의심해야 한다. 빵집 운영하는 점포 주인들의 국적도 샅샅이 파악하자. 테러에 가담할 지 모른다. 이러한 조건들을 이겨낼 자신이 있다면 뉴욕에 살아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럴 수 없다. 하룬들 살 수 있을까, 이 무서운 도시.
MWA의 회원들이 쓴 17편의 단편들을 모아놓은 <뉴욕 미스터리>는 온갖 범죄와 미스터리의 온상인 뉴욕을 아주 스릴넘치게 재현해냈다. 작가들은 이야기의 배경이 될 뉴욕의 공간을 스스로 선택했다. 월 스트리트, 유니언 스퀘어, 센트럴 파크, 할렘, 타임스 스퀘어와 서턴 플레이스, 그리고 또다른 열한 곳의 장소에서 미스터리는 다채롭게 도사리고 있었다. 공기까지 잘못 흡입하면 두려울 정도로.
<뉴욕 미스터리>에 수록된 작품 중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단연 「지옥으로 돌아온 소녀」 였다. 뉴욕에 사는 한 부부는 형사에게 취조를 받게 된다. 한 때 부부가 맡았던 소녀가 영양실조로 죽어 발견되었는데 그녀의 관계자로 물망에 올랐기 때문이다. 다행히 부부는 소녀를 다시 친모에게 돌려보낸 이후로는 왕래가 없었다. 경찰은 그들을 의심하지 않고 풀어주었지만 문제는 이때부터였다. 부부는 이미 죽은 소녀가 늘 자신을 지켜보고 있었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좋은 학교에 보내주고, 친 딸과 같이 방을 쓰게 해주고, 뭐 하나 부족할 거 없이 챙겨준 부부는 소녀에게 기묘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지인의 딸을 맡게 된 부부의 입장과 사건이 의식의 흐름을 타고 전해지는데 소녀 '매덕스'라는 아이가 얼마나 되바라지고 형편없는 아이인가, 라는 부부의 의식이 읽는 나에게도 전이되었다. 그러나 이 소식을 전하기 위해 남편이 결혼한 친딸과 식사를 하면서 한 대화에서 확고하게 갖고 있던 '매덕스'란 대상에 대한 이미지가 파괴되었다. 어라, 이게 아닌데. 싶은 마음이 목줄을 타고 흐르는 듯 했다.
어른의 눈에서는 끔찍하게만 비춰졌던 '매덕스'란 소녀의 행동과 말은 같은 또래였던 친 딸의 입장에서는 전혀 다르게 서술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동안 보여졌던 말썽들이 모두 오해였고, 부부가 '매덕스'를 다시 파양할 수밖에 없었던 결정적인 사건조차도 사실 별 거 아니었다는 게 밝혀진 것이다. 아이의 입장과 어른의 입장은 완전히 다르다. 편모가정에서 불우하게 자라난 '매덕스'는 모든 행동이 어른들의 잣대에서 이미 판단이 끝난 상태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후 벌어지는 '어린애다운 사건'들이 이 편견에 휩싸여 더 큰 사건으로 번진 것이었다. 같은 대상을 가지고 전혀 다른 말을 어른과 아이의 온도차가 신선하게 느껴지기 까지 했다. 동시에 어른들의 편견이 한 소녀를 '죽음에 이르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부부의 입장에서 그들을 옹호한 나까지도 가슴에 죄책감이 스며들었다.
아이가 성장해 다시 뉴욕에 왔지만 부부와 아이는 만나지 못했다. 같은 곳에 있어도 얼마든지 단절될 수 있었던 관계 속에서 가족의 형성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다른 시각 속에서 그 불편함과 새로움을 발견하는 작가의 서술이 놀라운 단편이었다. 그러나 「지옥으로 돌아온 소녀」는 <뉴욕 미스터리>의 단면일 뿐이다. 아직도 무시무시한 소설이 16편이 더 남아 있다. 명량의 이순신의 배처럼.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당신, 이래도 <뉴욕 미스터리>를 읽어보지 않을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