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혹한 어머니의 날 2 타우누스 시리즈 9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쇄 살인마를 향한 추적과 동시에 연쇄 살인마의 움직임도 뚜렷이 드러나는 [잔혹한 어머니의 날 2]다.

얼핏 보면 나이, 지역, 직업이 제각각 달라서 공통점이 하나도 없을 것 같은 피해자들의 잃어버린 고리가 하나둘씩 연결될 때마다 그들의 사연이 공개된다. 또한 연쇄 살인마의 정체가 특정지어진다.

1권에서는 죽은 80대 노인 테오 라이펜라트를 둘러싼 그의 정체를 파악하는데 시간을 다 썼지만 2권에서는 라이펜라트 일가를 둘러싼 그들 가족의 비밀이 밝혀진다. 라이펜라트 부부는 한 때 고아들을 임시 보호하는 일로 가족을 꾸린 적이 있다. 자주 파양이 되는 문제아들도 그들 부부 아래에 들어가기만 하면 얌전해진다는 것이다.

부부가 박애스러운 사람들이라서 아이들이 갱생했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보호자가 없고 누구에게 하소연해도 들어줄 사람이 없는 아이들. 아집과 스트레스에 차여 사는 아내 리타 라이펜라트의 스트레스 풀기용으로 딱이었던 '장난감'같은 존재들.

내가 나 자신을 지킬 수 없을 환경에서 무력하게 당하던 아이들은 2가지 선택을 해야 했다. 목숨을 끊어서 이 꼴을 더 안 보거나, 얌전한 척 수그리고 같이 괴물이 되거나. 그러나 어느 쪽을 선택해도 그들 마음 한 구석엔 사랑받고 싶다는 애정욕구가 늘 자리하고 있었다. 나이를 먹고 어른이 되고 사회적으로 성공해도. 절대 이겨낼 수 없는 욕구말이다. 그의 사생아라고 거짓말하고 아이들을 지배하려던 테오 라이펜라트에 복종한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서 그 거짓말을 알게 되었을 때 그들은 증오보다 더 큰 슬픔과 괴로움을 느낀다. 그리고 그들이 그 증오아래에서 결국 사람을 살인하는 악마로 자라났다는 것이 밝혀진다.

사람은, 절대 부평초처럼 살아갈 수 없다는 의미 아닐까.

다가오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해 다시 피해자를 납치하는 살인마의 시각과 악마를 찾아 서서히 숨통을 조여가는 피아 일행의 시각이 팽팽하게 2권을 장식한다. 마침내 살인마를 추적할 기회가 닿았을 때, 피아는 본인이 알고 싶지 않았던 또 다른 결말과 마주쳐야 했다.

그리고 그 결말과 함께 마주친 나로서도 피아와 같은 심정으로 결말을 맞이했다. 아주 쓰라린 심정으로.

살아갈 수 없어 누군가를 죽이는 사람들이 모이는 날, [잔혹한 어머니의 날 2]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