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모모'라는 책을 읽을 때 마다 새롭다.

나는 '모모'라는 아이를, 그 작고 큰 검은 빠져들것만 같은 눈동자를 가진 아이를 대할 때마다

새롭고 아름다운 것을 얻어 가는 것 같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는 초등학교6학년이었다.

워낙 창작소설을 좋아하는 터라, 분량이나 책의 두께에 상관없이 거침없이 읽어나갔다.

이 책은 특히 어린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물론, 성인이나 청소년들에게도 유익하고 머리 속에 새로운 상상의 세계를 심어 줄

좋은 장이 될 것이다.)

요즘 나이와 생각이 어리고 채 자라지 않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에게도,

'학생'이라는 이름과 그 명분 아래 똑같은 조건에서 똑같은 선생님의 말을 동시에 들으며

정해진 교칙안에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만 하는 아이들.

시험에 나오는 일정한 기출문제가 있고, 오히려 국어교과서에서 아이들의 사고력을 유도하는

탐구문제가 자습서의 짤막한 답변 하나로 메워져버리는 이 때에,

아이들의 상상력과 그 때묻지 않은 순수함의 세계는 금세 약해지고, 옅어지고,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결국 사라지고 말겠지.

이런 삭막한 현실 속에 이 '모모'는 놀랍고 신비로운 세계에서 참신한 개념을 제시하고

실상 무엇이 중요한지 모르고 가치전도현상과 인간소외현상에 매료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그 답을 찾게 해 준다.

그 책이, 어렵고 딱딱한 책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단지 '모모의 이야기' 라고 생각하라.

모모의 이야기를 펼쳐 들고 몇 장을 넘기면,

사람들은 언제부턴가 고민이 생기고 상담할 일이 생기면

'아무튼 모모에게 가 보게' 라고 말한다.

스스럼없이 한 치의 고민도 없이 그들은 모모에게 조언을 구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그것을 권한다.

도대체 모모는 누구길래, 무엇을 알고 있길래, 어떤 말을 해 주길래

모든 이들이 모모를 찾는 걸까?

오늘, 피곤하고 지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모모와의 대화를 시작해 보자.

가만히 그 이야기를 들어보자.

 

By 민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