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많은 돼지고기는 어디서 왔을까? - 식량위기 시대 잘 먹는다는 것에 대해 나의 한 글자 8
후루사와 고유 지음, 형진의 옮김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고기를 잘 안먹는다. 특히 돼지고기.
어떤 신념(?)에 의해서 그런건 아니고 그냥 냄새나 맛이 별로다.
그러다보니 먹거리의 문제를 접할 때 고기에는
좀 예민한 편인데 또 그 외에는 둔할 때가 더 많다.
'먹는다는 것' 우리의 삶과 결코 뗄수 없는 것이기에
이 책을 읽으며 내 입맛대로 세상을 보는 좁은 시야를
넓힐 수 있겠단 호기심과 반가움이 있었다.

이 책은 우리의 먹거리가 어디서 왔는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농업의 역사부터 식재료의 이동경로, 과거와 현재의 식생활 비교, 식량위기와 기아위험 등을 말하고 미래를 위한 대안들도 들려준다

옛날과 달리 지금을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고
산업화, 공업화..과학적 시스템으로
편리하고 풍요로운 식생활을 영위한다
그러면 좋은거 아닌가 싶은데 안타깝게도
가난한 국가는 더 가난해지고
초기 생산자는 그만큼의 대우를 받지 못한다
그리고 어딘가 문제가 생기면 도미노처럼
연쇄반응으로 무너져 식량위기까지 생겨난다
게다가 발달로 인한 기후위기는 농업. 어업 등에
영향을 줘서 원재료의 부족을 일으키면 대체제의 가격상승으로 국가의 빈부격차를 가져오고 분쟁으로 번지기도 한다
.
.
.
뒤로 갈 수록 무섭다는 생각도 들지만
가만히 있기 보다 작은 무언가라도 문제해결을 위해
실천해야 겠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우리가 먹는 모든 먹을거리는 물과 소금 이외에는 모두 생물입니다'

'우리 신체는 먹는 행위를 통해 대지와 자연의 순환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어요. 먹는 다는 것은 생태계 속에 존재하는 생명으로서 생명이 순환하도록 하는 것, 다른 생물들과 공존하는 관계를 지속하는 것입니다'

그래! 맞지!! 이미 첫장에 답이 보였다^^
우리가 먹는건 다 살아있다. 생명을 먹는 것이다
생명을 함부로 여겨서는 안된다..조금 불편해도 소중히..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이 책 궁금하네~ 를 시작으로 끝까지 단숨에 읽었다
소설이 아닌데 이런 몰입감 오랜만이다.
대화하듯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어지는 내용 전개도 인상적이다.
읽는 동안 아이와 같이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청소년도서란다..역시👍👍
아이들과 주제를 정해 이야기해보면 좋겠다.
어른들에게도 당연 추천하고 싶다.
자연과의 공존이 자주 대두되는 요즘
어른들이 먼저 정확한 정보를 통해 변화를 이루어가며
아이들에게 그 생각과 환경을 물려주면 더 없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