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화원 팡세미니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 지음 / 팡세미니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딩투데이에서 지원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리뷰입니다.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의 비밀의 화원. 제목부터 뭔가 고상한 느낌을 풍긴다.

최근에 읽은 동화는 어린 왕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있었다. 그것들을 읽은 나는 동화 체질인 것 같은 기분을 느꼈다. 잠깐이나마 어른들만 나오는 소설들만 읽어서 그런지 어린이들의 이야기가 너무 재밌고 어른에게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순수함들이 나를 매료시켰던 것 같다. 그런 와중에 비밀의 화원이라는 유명한 동화가 내 눈에 있는데, 어찌 읽지 않고 지나갈 수 있으랴!


비밀의 화원은 상처받은 존재들의 자아 성장을 그린 명작이다. 오만하고 제멋대로인 메리, 히스테릭한 콜린, 그리고 자연친화적 인물인 디콘은 메리가 부모를 잃고 고모부의 저택으로 오면서 그 인연이 시작된다. 고모부의 저택은 백 개나 되는 방문이 잠겨 있고, 밤마다 누군가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곳으로, 문이 닫혀 있어 10년간 아무도 들어가 본 적 없다는 비밀의 뜰이 그곳에 있다. 이 공간은 상처받은 사람들의 상징적 공간이다. 비밀의 화원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사랑을 주고받는 방법을 알게 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인간의 상처투성이 삶을 돌보고 배려하는 사랑의 진실을 깨닫게 한다. 누구나 일상에서 클래식을 편안하게 곁에 둘 수 있도록, 원작을 읽기 쉽고 편안하게 다듬어 엮었다.


주인공 메리, 전염병 콜레라 때문에 고아가 돼 고모부 집으로 가게 됐다. 아직 오만하고 제멋대로인 메리는 고모부 댁에서 마사를 만난다. 뭐든 자기중심적이고 하인이 없으면 혼자 할 수 있는 게 전무한 메리는 마사의 직접적인 도움, 간접적인 도움으로 성격에 변화가 생긴다. 마사의 이야기를 들으며 흥미를 느끼고 성격이 밝아지는 걸 느끼면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진다. 고모부의 아들이자 메리의 사촌인 콜린에게 메리가 좋은 친구가 되어주는데, 앞에서 마사가 메리를 친절히 대해줬던 게 오버랩 되면서 메리가 참 잘컸구나 한다. 몸이 허약했던 콜린이 어머니의 뜰인 비밀의 화원에서 마법이라는 희망을 갖고 곱사등이가 아닌 평범한 아이로 성장하게 되면서 마무리된다. 남들이 만들어 놓은 틀에 갖혀있지 않고 본인이 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무엇이든 실행하면 결국엔 이뤄낼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좋은 동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