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페크pek0501의 서재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메뉴
차단
신고
<책 이야기> 가난한 사람들
페크pek0501 2025/01/20 13:20
댓글 (
12
)
먼댓글 (
0
)
좋아요 (
44
)
닫기
페크pek0501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취소
차단
hnine
2025-01-20 17:57
좋아요
l
(
1
)
아주 오래전에 지금은 없어진 삼중당 문고로 읽었는데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아있는 책 중 하나랍니다.
인용해주신 부분이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보듯이 머리 속에 그려지네요.
페크pek0501
2025-01-21 10:38
좋아요
l
(
0
)
아, 나인 님은 읽으셨군요. 저는 오래전에 사 놨는데 앞부분만 밑줄이 처져 있는 걸로 보아 완독을 못한 것 같아요. 책이 두껍지 않아 금방 완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자식을 잃은 사람처럼 가엾게 느껴지는 경우가 또 있을까 싶어요. 이런 명작을 이제야 읽고 있네요. 좋은하루보내세요.^^
coolcat329
2025-01-21 20:01
좋아요
l
(
1
)
아 저도 이 책 참 강렬했어요. 뒤에 나오는 단추 에피소드! 아 ㅠㅠ
페크pek0501
2025-01-24 15:21
좋아요
l
(
1
)
강렬한 소설이지요. 단추 에피소드까지는 제가 읽지 못했나 봅니다. 어제 읽은 부분은 고골의 ‘외투‘를 읽고 나서 그 평을 쓴 마카르의 편지, 인데 슬픈 얘기지만 웃겨서 죽는 줄 알았어요. 외투에 대해 그렇게 엉뚱하게 읽을 수도 있다니 참 재밌는 소설입니다. 저도 외투를 서너 번 읽은 것 같은데 읽을 적마다 해석이 달라져서 참 헷갈리는 소설로 기억합니다. 아, 멋져요!!
coolcat329
2025-01-24 15:29
좋아요
l
(
1
)
맞아요. 그 부분도 진짜 웃겨요. ㅋㅋㅋ
페크pek0501
2025-01-24 15:54
좋아요
l
(
1
)
고골의 ‘외투‘에 대해 평을 쓴, 마카르의 편지 중에서 일부 소개할게요. 혼자 보기 아까워요. :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런 소설을 쓰는 것일까요? 이것이 도대체 무슨 필요가 있단 말입니까? 이걸 읽는 사람 중에서 나 같은 가난뱅이에게 외투를 사 주겠다고 나서는 친구가 생길까요, 장화를 새로 맞추어 주는 친구가 나타날까요? 천만에, 독자는 이것을 다 읽고 나면 다시 그 다음을 요구할 뿐입니다.(중략) 하기는 작자가 끝에 가서는 생각을 달리 먹고 관대하게 취급했더군요.(중략) 훌륭한 시민이었다. 자기 동료들로부터 이런 푸대접을 받아야 할 사람이 아니었다.(중략) 이런 이유로 이 작품을 좋게 평가할 수 없습니다. 바렌카, 나는 이 작품이 매우 못마땅하다는 것을 정식으로 밝혀 두는 바입니다.
- 저 웃겨 죽는 줄 알았어용^^
감은빛
2025-01-23 22:16
좋아요
l
(
1
)
저도 가난한 사람이라 이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말씀처럼 정말 눈 앞에 그 모습이 그려지는 묘사네요.
자식의 죽음이라는 것은 정말 받아들이기 어려운 현실이겠지요.
그것이 어떤 것일지 상상도 할 수 없지만, 살면서 절대 겪지 말아야 할 일이 있다면,
바로 자식을 먼저 잃는 일이겠지요.
이 글을 읽으면 자꾸 아까운 목숨들을 잃은 대형 참사들이 떠오르네요.
세월호도, 이태원도, 이번 비행기 참사도 너무너무 가슴 아픈 일이지요.
가장 안타까운 사고였던 씨랜드 참사도 떠오르구요.
세상에 그 어린 아가들이 불 속에 갇혀서......
에휴, 괜히 기분이 더 쳐지네요.
책 소개 고맙습니다!
페크pek0501
2025-01-24 15:16
좋아요
l
(
0
)
요즘은 물가가 오르고 해서 거의 다 가난한 것 같습니다.
슬픔이 배어 있는 듯한 소설이지요. 쉽게 쓴 듯하지만 묘사가 뛰어납니다.
가장 견디기 힘든 게 자식의 죽음일 것 같아요.
대형 참사 소식을 접하면 그 유족이 그 아픔을 어찌 견디고 살지 헤아리게 됩니다.
좋은 소설이 너무 많아요.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은 다 읽고 싶네요.
댓글 고맙습니다.^^
2025-01-25 21:49
비밀 댓글입니다.
2025-02-01 21:13
비밀 댓글입니다.
2025-02-06 02:03
비밀 댓글입니다.
2025-02-06 11:23
비밀 댓글입니다.
비밀 댓글
트위터 보내기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