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페크pek0501의 서재

















미셸 드 몽테뉴, <에세 1>


그러니 누구나 수긍하는 견해로, 아이를 부모의 무릎 위에서 키우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가장 현명한 부모조차 자연적인 애정 때문에 물러지고 느슨해지니까요. 그래서 아이가 잘못을 저질러도 벌할 수가 없습니다. 또 아이는 거칠고 과감하게 키워야 하는데 그것을 두고 보질 못합니다. 부모들은 자식이 운동을 한 뒤 땀 흘리며 먼지를 뒤집어쓰고 돌아오는 것을 견디지 못합니다.

 – 몽테뉴, 「에세 1」, 284쪽. 


더운 것을 마셔도, 찬 것을 마셔도, 다루기 힘든 말을 타도, 거친 검술 선생에 맞서 검을 쥐고 있는 것도, 생전 처음 화승총을 든 것도 차마 보지 못합니다. 하지만 달리 방법이 없으니, 자식을 남자다운 남자로 만들려면 어렸을 때부터 봐줘서는 안 되고 의학이 명하는 규칙도 종종 어겨야 합니다.

- 같은 책, 285쪽.


⇨ 아이가 잘못을 저질러도 벌하지 않고 자녀를 과잉보호하는 부모들이 있다. 그런 부모들은 자녀가 응석받이로 자라나 성인이 되어 직장 생활을 하게 될 때 잘 적응할 수 있을지를 따져 보아야 한다. 자식을 귀하게 여길수록 매를 들어야 하는 것은 그렇게 하지 않으면 결국 아이에게 해롭기 때문이다. 


그를 야외에서, 불안 속에 살게 하라.

호라티우스

- 같은 책, 285쪽. 


⇨ 몽테뉴(1533~1592년)는 자식을 키울 때 거칠고 과감하게 키우라면서 ‘불안 속에 살게 하라’는 호라티우스의 말을 인용한다. 불안 속에 살게 해야 불안을 극복할 힘이 생기기 때문이리라. 세상살이가 고달플 때를 대비해 강한 정신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리라.  


몽테뉴의 글을 읽으니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며칠 전의 사건이 떠오른다. 그 사건은 방송을 통해 알려졌다. 「한 남성이 치과에서 충치 치료를 받고 20만 원을 결제했는데, 이 남성의 어머니가 "어떻게 보호자의 동의도 없이 그냥 치료하느냐"며 치과에 환불을 요구한 일이 있었습니다.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했던 이 남성, 다 큰 23살 아들이었습니다. (중략) 이 남성의 어머니가 치과에 전화해서 "우리 아이가 뭘 안다고 보호자 허락 없이 그냥 치료하냐?"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에게 과잉진료, 과잉청구한 거 아니냐?" "내가 환불받으러 갈테니 기다려라"라고 화를 냈다는 거죠.」(YTN, 2024.08.28.) 이후 어머니는 보건소에 신고했고, 치과에서는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한다.   


아들이 23살이면 성인인데 아직도 부모가 애 취급을 한다면 도대체 아들이 몇 살이 되어야 애 취급을 하지 않을 것인지 궁금하다. 그렇게 부모의 보호 아래 온실 속의 화초처럼 자라난 아들이 군대에 가면 군대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또 앞으로 이 험난한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지 깊이 생각해 볼 일이다. 


대학생인 자녀의 수강 신청을 대신해 준 학부모의 얘기를 듣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부모의 지나친 과애가 자식의 인생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지 않던가. 자녀들이 인생을 잘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부모는 옆에서 돕는 정도에 그쳐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까닭에 신체가 아직 유연할 때 모든 방식과 관습에 적응시켜야 하는 것이지요. 인간이 욕망과 의지를 통제할 수 있는 이상, 젊은이를 과감하게 단련시켜 어느 나라 어느 사회에서나 잘 적응하고, 필요할 땐 무절제와 과도함까지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의 젊은이가 시속(時俗)에 걸맞게 처신하게 하십시오.

- 같은 책, 308~309쪽.




그것을 알기만 하는 자보다 행하는 자가 이 가르침을 더 잘 이용하는 것입니다.

- 같은 책, 310쪽.


우리의 아이는 배운 것을 읊조리기보다는 몸으로 행해야 합니다. 배운 것을 행동으로 복습해야 합니다.

- 같은 책, 311쪽.


⇨ 알기만 하고 아는 대로 행하지 않으면 아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한 예로 양보와 배려를 미덕으로 알고 있으면서 폭력을 행사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학교 폭력에 시달리다 학교를 중퇴하는 경우도 있다. 어른도 마찬가지다 음주 운전을 하면 안 된다고 알고 있으면서 음주 운전을 한다면 아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자기가 받은 교육을 자랑거리가 아니라 자기 삶의 규율로 삼는 사람, 자기 자신에게 복종할 줄 알고, 자신의 원칙에 충실한 사람”(키케로)인지 봐야 합니다.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대로 보여 주는 진정한 거울은 우리 삶의 모습입니다.

- 같은 책, 311쪽.





....................

‘화요 발췌와 단상’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