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지 10장을 쓰는 힘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혜숙 옮김 / 루비박스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서말의 구슬을 꿰는 글쓰기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을 읽고

 


사이토 다카시가 지은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을 읽었다. 그는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언어학자로 내는 책마다 베스트셀러를 만들었다. 대표작으로는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일본어>와 <신체 감각을 되살린다>가 있다. 그는 글을 잘 쓰고 싶지만 어떻게 노력하면 좋을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알기 쉽게 조언을 해준다. 그에 따르면 원고지 10장 분량을 계속 쓰면 그 이후엔 어떤 분량의 글이든 쓸 수가 있다. 달리기도 1킬로미터를 꾸준히 연습한 사람이 10킬로미터 달리기가 쉬운 것처럼 말이다. 한 마디로 질보다 양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양의 압박에서 벗어나게 되어야만 내용에 집중하기 쉽다.

다음으로 그는, 글이 구성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즉흥연주를 하는 뛰어난 음악가도 머릿속에 전체 구상을 해놓는다. 글쓰기 전엔 철저한 구성이 필요하다. 그는 어떻게 하면 구성을 잘 할 수 있는지도 자세히 알려준다. 글을 쓰기 위해 책을 읽는다면, 여러 색의 펜을 사용해서 어떤 부분을 글에 써먹을지 밑줄을 긋고 여백에 메모를 한다. 그 정보를 바탕으로 키워드(핵심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정한다. 그리고 세 개의 키컨셉(자신이 말하고 싶은 것)을 세우고 그것을 연결시킨다. 키컨셉은 성격이 달라야 하고 이렇게 다른 것들을 얼마나 잘 연결하느냐가 독창성을 판가름한다. 그 후 글의 설계도라할 수 있는 레쥬메(글의 구성이나 글 안의 항목을 정리)를 작성한다.

문체를 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기자에 비유하자면 구성력은 연기력이고 문체는 존재감이다. ‘존재감이란 자기 나름의 스타일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117p)’ 먼저는 구성력을 열심히 훈련해야 하지만,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면 문체도 확립해야 한다. 글을 쓸 때 자신의 포지션이 어디인지 찾아보면 자신의 문체를 알 수 있다. 소리 내어 글을 읽어보고 생명력이 느껴지는가 하는 것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문체를 만들려면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읽고 따라 쓰는 게 좋다. 그리고 무엇보다 책이나 영화, 이 세상을 ‘나’라는 존재가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잘 풀어내는 훈련이 필요하다. ‘어떤 대상에게서 받은 수동적인 영향을, 글을 쓰는 능동적인 행위로 반전시키는 것이다.(140p)’

책을 읽으며 가장 크게 깨달은 건 ‘구성’이었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걸 익히 들어왔으면서도 체계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글을 썼던 적이 많았다. 구성이 어렵기 때문이다. 말도 생각나는 대로 하면 쉽다. 그러나 이미 세운 주제에 맞춰서만 말하라고 하면 어렵다. 글도 마찬가지다. 끈질기게 두뇌를 굴려서 설계해야 하니 쉽지가 않은 게 당연하다. 게다가 글은 말과는 달리 상황을 초월하기에,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써야 한다. 나는 이러한 글의 공공성을 간과할 때가 많았다. 혹은 객관과 주관을 잘 조화시키지 못해서 사실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반대로 너무 딱딱한 글을 쓰기도 했다. 앞으로 구성을 할 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책을 읽으며 인생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다. 글과 삶은 닮아 있다. 방향을 잘 잡고 자기 스타일을 찾아서 꾸준히 노력하여 페이지를 채워야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미래를 구상하지 않고 살면 시간을 중구난방으로 쓰게 되고 후회의 눈물만 남을 것이다. 글이든 인생이든 키워드를 정하고 그 키워드에 맞게 구성하여 채워나간다면 알찬 결실을 맺는 날이 온다. 앞으로 글쓰기 연습을 다시 시작하고 글 구성에 머리를 굴리려고 한다. ‘묘사’가 뛰어난 작품들을 자세히 읽어 단조로움이라는 약점도 극복할 것이다. 내 인생의 구성에서 글쓰기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