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는 미쳤다 - 성격장애와 매력에 대한 정신분석 리포트
보르빈 반델로 지음, 엄양선 옮김 / 지안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스타에 대한 슬픈 보고서 -<스타는 미쳤다>를 읽고

 

학창시절, 잠을 자다가 잠시 깨었을 때 라디오에서 들린 너바나의 Smells Like Teen Spirit은 내 영혼을 울렸다. 이전엔 락음악을 아무 것도 좋아하지 않았지만 그 음악은 다르게 들렸다. 그렇게 너바나와 너바나의 보컬 커트 코베인은 나의 우상이 되었다. 주위에 친구가 별로 없긴 했지만 락음악을 듣는 친구는 더더욱 없었다. 하지만 나는 혼자 너바나의 노래 가사를 흥얼거리며 다녔다. 커트 코베인의 사진과 뮤직비디오, 라이브 동영상을 보았고 너바나의 음악 테이프를 사 모았다. 어느 날 밤엔 너바나의 모든 음악을 들어보기 전에 세상의 끝이 오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을 느끼기도 했다. 그렇게 추종하게 된 데에는 커트 코베인의 어둡고 슬픈, 저항적인 이미지와 목소리가 한 몫 하였다.

하지만 커트 코베인을 알면 알수록 딜레마가 커졌다. 그를 존경하고 선망하는 것이 분명했지만 그의 삶은 내가 따라 가야할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진 않았다. 이 두 가지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이 곤혹스러웠다. 일반적으로 존경이란 건 당연히 삶을 포함해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여전히 그의 음악은 좋았다. 그러나 그는 왜 마약 중독, 온갖 난폭한 행동, 자살(타살 의혹도 있지만)로 마감한 인생을 살아야 했던가? 그 불행한 삶을 따라 산다고 내가 인생의 심오한 진리를 깨닫는 열반(Nirvana)에 이를 수 있을 것 같진 않았다.

현재의 나는 커트 코베인 역시 하나의 불완전한 인간이었고 어쩌면 그 불완전함이 더욱 그를 매력적으로 만들었는지 모른다고 생각한다. 보르빈 반델로가 쓴 <스타는 미쳤다>를 읽고 이런 생각은 더 확실해 졌다. 정신장애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저자는 위대한 스타들에게 극적, 감정적, 변덕스러운 성격장애가 더러 있으며 이 장애 때문에 그들이 스타가 될 수 있었다고 쓴다. 우울함이나 흥분은 그들이 감성을 더 풍부하게 표현하도록 해준다. 또한 자기 과시적이거나 인정욕구가 강한 성격장애의 특성은 그들에게 스타가 되고자 하는 원동력이 돼준다. 이렇듯 스타와 성격장애의 연관성을 연구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책에는 우리가 잘 아는 스타부터 잘 모르는 스타까지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엘비스 프레슬리는 폭식증을 겪었고, 마이클 잭슨은 아동성도착, 다이애나 왕세자비와 마릴린 먼로는 경계성 성격장애의 징후를 보였다. 그들은 하나같이 불운한 삶과 비참한 결말을 보여주어 마음을 아프게 했다. 자살로 인생을 마쳤던 우리나라의 연예인들 생각도 났다. 앞으로 성격장애를 겪고 죽음으로 자신을 몰아갈 사람들은 더 늘어날 것이다. 성격장애나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스타들이 줄어들지도 않을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정의 파손, 아동 성폭행, 빈부 격차 등의 문제는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더욱 책에 대해 아쉬운 점을 감출 수 없다. 에필로그를 읽고 나면 스타들의 망가진 삶을 지향할 필요는 없지만 어찌할 수도 없다는 중립적인 시선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그들의 결핍이 그들을 더욱 빛나게 했다고 해서 그 자체로 긍정하고 놔둘 순 없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성격장애를 문제로 파악한다면 대안을 고민하는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단지 가십거리 읽듯이 스타들의 불행을 곱씹고 싶은 사람은 많지 않다. 오드리 햅번도 한때 거식증으로 고생했다고 하지만, 말년까지 아름다운 내면과 외면을 가꾸어 추앙을 받았다. 성격장애를 극복한다고 해서 스타의 매력이 없어지지 않는다. 아픔을 건강하게 승화시키면 더 빛나는 스타가 될 수 있다. 별(Star)은 어두운 밤을 견뎌내기에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