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이름으로 - 개정판
헨리 나우웬 지음 / 두란노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 무시받는 기분을 느꼈다. 감정의 격랑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나는 내 무력함이랄지 연약함에 대해 무척 관대한 편이지만, 주위 사람들은 관대하게 보아넘겨주지 않을 때가 있다는 걸 알았다. 여전히 감정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배의 선물로 받았던  <예수님의 이름으로>라는 얇은 책을 펼쳤다. 이번에는 펜을 들고 특별히 밑줄을 긋거나 메모를 하며 읽었다. 하버드 교수에서 정신 장애인들과 사는 삶을 택한 나우웬이 '21세기 크리스천 리더십'에 대해 강연한 내용이었다. 그는 예수님이 마귀에게 받은 세 가지 유혹, 즉 '현실적이 되라, 멋있게 보이라, 힘이 최고다'라는 메시지가 무얼 의미하는지, 예수님이 베드로를 목자로 부르실 때 중점을 둔 것이 무엇인지 유려하게 제시한다.

 나는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한 편이다. '현실적'이라는 잣대로 나를 평가한다면 무시받아 마땅할 정도다. 나 스스로도 이 사실을 알기에 무시를 당하면 자존감이 떨어지고 만다.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목자 역할을 맡기시기 전에 "너는 얼마나 많은 업적을 쌓았느냐, 얼마나 많은 문제를 해결했느냐? 혹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인정을 받았느냐?"라고 물으셨다면 그도 좌절했을 것이다.   

 다행히 예수님은 마치 연인이 사랑하는 상대에게 그러하듯 매우 사적이고 단순한 질문을 던지셨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여기에 Yes 라고 대답할 수 있다면 다른 조건은 불필요하다. 예수님이 원하는 건 우리 존재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간에겐 서열이 없으며 무시받아 마땅한 이는 더더욱 없단 걸 알려준다. 오늘 친한 언니를 만나 이런 주제로 토론을 했었다. 언니는 토론을 하면서, '인격'이란 인정받거나 실력을 발휘하는 게 아니란 걸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누군가가 누군가를 무시한다면 무시할 때 그의 태도가 인격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내겐 대인관계 능력도 떨어지는 편이다. 몇몇 인기있는 리더들을 보면 전혀 인기없는 나와 비교하지 않을래야 비교하지 않을 수가 없다. 모임에는 주목받는 사람들, 사랑받는 사람들이 정해져 있는 듯 보인다. 내가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다른 사람을 더 좋아하면 처음의 호의가 떨어져버린다. 리더라면 주위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쳐야 할텐데, 내 영향력은 극히 미미하다. '나는 왜 매력이 없을까? 사랑받지 못할까?' 아무리 이런 고민을 해도 변하는 건 없다.

 그러나 애초에 이 질문은 관점이 잘못된 것인지 모른다. '내가' 주목받는 것이 더 기분좋긴 하겠지만, 하나님은 '두 세사람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인 곳에 함께하시겠다고 말씀하셨다.(마 18:20) 헨리 나우웬의 말에 따르면 진정한 목회는 반드시 상호 보완적이어야 한다.(45p) 리더는 팔로워들과 마찬가지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죄인이고 깨어진 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는 실제로 이 강연을 하러 워싱턴에 갈 때 공동체 지체인 빌 반 뷰렌과 동행하며 생긴 일을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에서 보여준다.

 헨리 나우웬은 리더십이 많은 경우 리드를 당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리더십의 통념을 뒤집는다. 책을 읽으며 겸손에 대해, 연약함에 대해, 함께함에 대해 새롭게 고민했다. 나는 무시당하는 것이 싫었었다. 그래서 다른 이들보다 뛰어나고 강해지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 고민스러웠다. 혼란스러웠다는 게 더 정확하겠다.  하지만 맡은 일을 잘하는 추진력있는 사람들은 세상에도 많다.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사람들도 세상에는 많다. 세상은 영적 필요에 허덕인다. 그것에 귀를 기울인다면 더 이상 '무시받음'이라는 주제에 지체하지 않을 것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사랑할 것이냐라는 직감이 든다.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라고 물으셨을 때, 사람들의 시선을 더 따를 것이냐, 하나님을 더 의식하며 살 것이냐 라는 물음이 내 앞으로 달려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